정당
[탄핵 가결] 헌재로 공 넘긴 국회, 이젠 곧장 ‘대선모드’
뉴스종합| 2016-12-09 16:38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 9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면서 이제 탄핵정국의 키는 헌법재판소로 넘어갔다. 국회는 이제 자의타의로 대선모드에 돌입한다. 헌재 판결 시점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대선을 준비하려면 당장 당내 경선 룰 논의가 시급하다. 주로 야권 얘기다. 붕괴 직전인 새누리당은 마땅한 후보군도 없어 아직 논외다.

민주당은 이날 박 대통령 탄핵이 가결된 본회의 이후 내부 단속에 들어갔다. 의원 사이에선 탄핵 가결 이후 사실상 대선정국으로, 한층 더 신중해야 한다는 당부가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대선 주자를 만나지 말라는 경계령도 내려졌다는 후문이다. 자칫 대선주자에 공세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헌재 결정 시기는 현재로선 미정이다. 빠르게는 2월, 늦게는 6월까지도 오르내린다. 변수가 많기 때문에, 정당으로선 하루빨리 경선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 특히, 다수의 잠룡이 있는 야권이 여권보다 급하다.

야권 경선 룰의 가장 큰 쟁점은 당원ㆍ국민투표의 경선 비율이다. 당원의 비중은 조직력과, 국민투표의 비중은 대중력과 맞닿아 있다. 즉, 당원 비중이 커지면 당내 장악력이 큰 문재인 전 대표가 유리한 구도다. 역으로 국민투표 비율이 높으면 상대적으로 원외인사가 유리하다. 최근 지지율이 급상승하고 있는 이재명 성남시장은 최근 언론 인터뷰를 통해 “완전국민경선과 결선투표가 보장된다면 괜찮다”고 밝혔다.

야권 대선 후보 사이에선 지난 2012년 대선 경선을 준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당시 민주당은 민주당은 100% 국민경선과 모바일 투표 등을 실시했었다. 아직 민주당은 경선 룰을 공개적으로 논의하지 않고 있다. 각 대선 후보들 역시 꺼리는 기류가 역력했다. 야권 한 대선후보 캠프 관계자는 “탄핵 정국에서 자칫 경선 룰을 드러내고 언급하면 역풍이 상당할 수밖에 없다”며 “이러다 경선에 임박해서 논의가 진행되면 잡음이 커질 수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날 박 대통령 탄핵이 가결되면서 이제 당내 경선 논의는 불가피한 과제다. 오히려 이를 외면하다 갑작스레 헌재의 결정이 나오게 되면 후발 대선주자들의 반발이 거셀 수 있다. 공정성 시비도 우려된다. 이를 방지하는 차원에서라도 야권은 곧바로 경선 룰 논의에 착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경선 과정에서 이 시장, 안희정 충남도지사, 박원순 서울시장 등의 지자체장 직 사퇴 여부도 걸려 있다. 조기대선은 보궐선거 개념으로, 선거일 30일 전에 사퇴하면 대선에 출마할 수 있다. 다만, 경선이 시작되면 지자체장을 유지한 채 경선에 참여할지가 난제다. 당 차원으로서도 이들 모두 지자체장을 사퇴하고서 경선에서 탈락하면 손해가 막심하다. 그렇다고 현직을 유지한 채 전국단위의 경선일정을 소화하는 것도 부담이다.

dlcw@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