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일반
"大-中企 임극격차 줄이려면 ‘성과공유’ 확산 절실”
뉴스종합| 2017-03-22 15:00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중소기업 근로자의 임금이 대기업 근로자의 62.9%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임금격차를 줄이려면 성과공유 모델이 확산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성과공유 모델은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은 물론, 중소기업 근로자의 이직률을 낮추는 계기로 작용해 우리 경제의 안정성을 높일 것으로도 분석됐다.

중소기업연구원과 중소기업단체협의회는 22일 오후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대-중소기업간 임금격차 완화 및 생산성 향상 방안’ 세미나를 열었다. 중소기업과 근로자의 성과공유제를 활성화함으로써 낮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대-중소기업간의 임금격차를 완화하자는 취지다. 행사 후원자로는 중소기업청이 팔을 걷고 나섰다.


이날 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맡은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이 대기업의 29.1%로 주요국 대비 가장 낮은 수준”이라며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중소기업 문화를 중소기업과 근로자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과감하게 혁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노 연구위원에 따르면 우리 중소기업의 대기업 대비 임금수준은 1997년 77.3%에서 2016년 62.9%로 20년간 14.4%포인트나 감소했다. 중소기업의 인력수급이 갈수록 불안정해지는 이유다.

노 연구위원은 이에 따라 “우리 중소기업의 대기업 대비 임금수준은 미국(76.0%), 일본(79.0%, 500인 기준), 독일(73.9%), 캐나다(71.0%∼78.2%) 등 주요국가보다 10%포인트 이상 낮다”며 “미래가치나 이익을 근로자와 공유하기로 약정하고, 이를 실천하는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세제지원을 확대하는 등 범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대기업이 협력 중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지원하는 자율 성과공유제를 활성화하고, 이를 실천하는 대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혜택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중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사업주와 협력 대기업이 추진하는 다양한 성과공유 모델이 궁극적으로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이직률을 낮추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 노 연구위원의 설명이다.

노민선 연구위원은 이어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직업계고 졸업생에 대한 성장단계별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며 “중소기업에는 석ㆍ박사급 고급 인력보다 직업계고 출신 인력이 오히려 쓸모 있는 경우가 많다. 직업계고 졸업생이 군대 문제를 해결하고 핵심인력으로 성장할 때 성과공유의 중요성이 크게 나타난다”고 강조했다.

yesyep@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