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중국의 사드 문화 보복, 어떻게 체질개선으로 맞설 것인가?
엔터테인먼트| 2017-03-29 12:17
[헤럴드경제=서병기 선임기자]오는 4월 베이징에서 열리는 ‘제7회 베이징 국제영화제’에 한국 영화가 상영되지 못한다. 중국 당국이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보복으로 보이는 한한령(限韓令)의 일환으로 베이징영화제에서 한국 영화 상영을 금지했다고 한다.

지난해 베이징영화제때만 하더라도 이민호와 김우빈 등 한류 스타들이 참석해 열렬한 환영을 받은 가운데 한국영화가 상영되었지만 올해 행사에는 아예 한국영화 상영 자체를 막았다.


중국은 한한령이 시작되면서 그동안 한국연예인의 중국 방송 프로그램과 CF 출연 금지, 한국인의 중국 프로그램 제작 참여 금지와 한국 드라마 방영금지, K팝의 중국 공연 금지에 이어 한국 영화까지 단계별로 금지 조치를 내리고 있다.

이미 한국 단체관광을 금지했던 중국은 이제 한국 콘텐츠의 자국 수출을 모두 막고 있는 셈이다. 한국 콘텐츠 제작자들로서는 중국 이외의 다른 나라들에 수출 활로를 모색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정치외교적인 문제를 문화교류까지 연결시켜 제한 또는 금지 조치를 가한다는 것은 한마디로 치졸한 행위다. 그래서인지 중국의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중국의 사드 보복이 온당한 것인가”라고 문제를 지적하고 성찰적 입장을 보이기도 한다. 중국이 박근혜 정부 이후 새 정부 출범을 앞둔 한국에 강렬한 압력을 가하는 행위로 해석하는 시각도 있다.

따라서 중국의 사드 보복은 가변적이다. 현재 상황은 강경하지만, 이 기조가 오래가지 못할 것, 심지어 ‘지나가는 태풍’이라는 예측도 많다. 하지만 보복 국면이 ‘지나가는 태풍’이라고 보기에는 길어지는 측면이 있다. 여기에는 중국도 단계적 보복조치로 인해 한국으로부터 뭔가를 얻어내겠다는 계산이 깔려있다.

중국은 자국의 정책을 반대하는 나라들에게 항상 경제적 보복을 가해왔다. 그리고 그 결과는 중국 입장에서 볼 때 성공도 있고 실패도 있었다. 중국의 사드 문화보복은 국제적이고 보편적인 틀속에서 볼 때도 국가 이미지 하락이 불가피하다. 그럼에도 중국은 이런 부분에 별로 게의치 않는 듯하다.

한국 콘텐츠 제작업체들은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적지 않은 피해를 보고 있다. 이들 대다수가 중소기업이라 얼마나 버틸 수 있는지를 걱정해야 한다. 하지만 이번 조치를 문화 수출과 교류에서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등 체질개선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그래야 언제 일어날 지 모르는 혐한류(일본)와 한한령(중국)의 파고가 와도 버텨낼 수 있다.

이미 K팝과 드라마, 웹콘텐츠, 영화 등 한국의 대중문화는 중국을 넘어 다양한 국가들에서 큰 반응이 나오고 있다. SNS 상으로도 그 반응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빅뱅과 방탄소년단은 이미 글로벌 공략형 콘텐츠다. 이들에게 중국은 수많은 국가중 하나일 뿐이다. 김은희 작가의 신작 드라마 ‘킹덤’은 아예 넷플릭스를 통해 유통시킨다. 넷플릭스는 국가간 경계가 희미해지는 플랫폼이다. 체질개선의 신호탄은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이제 시작이다.

/wp@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