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
‘제보조작’에 한 풀 꺾인 청년정치 열풍
뉴스종합| 2017-07-06 11:16
경험부족·오판이 화근…“반짝영입이 문제”

“젊은 사회초년생의 끔찍한 발상”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 “철부지들의 불장난”(문병호 국민의당 전 최고위원)

‘문준용 의혹 증거 조작사건’이 드러나며 국민의당에서 나온 발언이다. 증거를 조작한 이유미(38) 씨, 조작된 제보를 사실로 알고 윗선에 알렸다는 이준서(40) 전 최고위원을 겨냥한 말이다.

조작사건의 중심에 이른바 ‘청년정치인’이 놓이면서 이들의 정치참여에 대한 논란도 커지고 있다. 정치 경험이 없는 ‘깜짝 영입 인사’들이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는 목소리가 주를 이루는 가운데 청년 정치인 양성을 위한 인큐베이팅(incubating)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26살에 군의원으로 시작해 3선 국회의원이 된 황영철 바른정당 의원은 통화에서 “청년들의 의회 진출이 아직 선진화되지 못했다”며 “반짝진입보다 풀뿌리 정치를 통해 역량을 시험해보고 평가받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기업가인 이준서 전 최고위원의 경우 지난 총선 안철수 전 대표에 발탁돼 영입인사 1호로 소개된 바 있다.

청년의 정치참여는 2012년 총선, ‘붐’을 이뤘다. 목소리를 직접 반영하자는 취지였다.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은 이준석(당시 26세)씨와 손수조(당시 27세) 씨를 영입했고 민주통합당(현 더불어민주당) 역시 청년비례대표로 청년들의 정치참여를 독려했다. 김광진ㆍ장하나 전 의원이 이때 국회에 들어왔다.

하지만 문제점도 노출됐다. 20대 총선에서 서울 노원병에 출마했던 이동학(35) 전 민주당 혁신위원은 “김광진ㆍ장하나 전 의원의 경우 의정 활동은 훌륭했지만 청년문제 해결은 미흡했다”며 “청년에 대한 문제의식을 느끼는 사람이 국회의원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채진원 경희대 교수는 “청년비례대표가 선거를 위한 일종의 미끼상품이 되는 측면이 있다”며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국회에 입성하고 나면, 계파 정치 등에 휩쓸릴 수 있다”고 했다. 실제로 20대 총선에서는 청년정치인의 열기는 예전만 못했다. 민주당의 경우 당시 김종인 대표가 청년을 당선권이 아닌 후순위 비례대표 순번을 줬다.

제대로 된 청년 정치참여를 위해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이재영 자유한국당 청년최고위원은 “외국의 경우 어릴때부터 정책, 이념에 대해 생각을 다듬고 참여하는 방법을 배운다. 20대 중반만 해도 노련한 정치인이 된다”며 인큐베이팅 시스템의 제도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박병국 기자/cook@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