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北 6차 핵실험 후폭풍] 안보리 거부권 쥔 ‘러 역할론’ 다시 주목
뉴스종합| 2017-09-06 12:01
안보리 ‘추인’→적극 목소리로 전환
제재 공조·대북메신저역 유도 관건

북한 6차 핵실험 제재 국면에서의 ‘러시아 역할론’이 주목받고 있다.

러시아는 그동안 북핵 문제와 관련해 ‘제재보다 대화’ 기조를 강조하며 중국과 대체로 보조를 맞춰왔다.

하지만 최대의 대북 영향력을 지닌 중국이 미국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안에 합의하면 그것을 ‘추인’하던 모습에서 최근에는 안보리 논의에 초반부터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쪽으로 조금씩 바뀌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러시아 역할론이 더 주목받는 것은 북한과의 교역을 늘려가며 독자적인 대북 영향력 확대를 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상반기 북한과 러시아 간의교역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약 73% 늘어났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최근러시아 연방 관세청 자료를 인용해 보도하기도 했다.

우리 정부는 북한의 6차 핵실험과 관련해 미국 주도로 진행되고 있는 유엔 안보리의 고강도 대북제재 결의 채택을 위해서는 중국 못지 않게 거부권을 가진 상임이사국으로서 러시아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바실리 네벤쟈 유엔주재 러시아 대사는 5일(현지시간) 유엔 안보리의 신규 대북제재 결의안을 오는 11일 표결하겠다는 미국의 입장에 대해 “다소 시기상조”라며 고강도 제재 결의를 신속하게 만들기 원하는 미국에 브레이크를 걸기도 했다.

이와 관련, 한 외교 소식통은 6일 “우선 러시아가 안보리에서 ‘스포일러’(방해자) 역할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는 러시아의 대북 메신저 역할에도 기대를 걸고 있다.

최근 북러 간 관계가 밀접해 보이는 양상을 보이는 상황에서 북한의 도발을 자제시키고 비핵화 대화의 장으로 북한을 이끌기 위해 러시아의 대북 지렛대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러시아 역시 한국과의 긴밀한 소통을 원할 것이라고 러시아 사정에 정통한 외교소식통은 전했다. 미국과 일본이 고강도 대북제재·압박 기조를 보이는 가운데, 러시아는 한국이 미국의 ‘강경노선’에 날개를 달아주지 않을까 우려하고 경계하는 분위기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가들은 문재인 대통령의 6∼7일 러시아 방문과 한러 정상회담, 신(新) 북방정책 비전 천명 등을 계기로 한러간 경제협력과 북핵 관련 협력 간의 상호 보완적 구도를 만드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보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외교 전문가는 “러시아도 중국의 진출에 대한 경계심, 쿠릴 4개섬 반환의 교두보 마련과 중국 견제 등 일본의 정치적 속내를 잘 알기 때문에 극동개발에 관해 한국이 최적의 파트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그런 점을 우리가 잘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주 기자saga@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