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일반
1949, 1951년 두번 국군에 양민학살 당한 산청, 위령제 엄수
라이프| 2018-04-10 18:42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경남 산청은 믿었던 국군에 두 번이나 양민 학살의 참극을 당했다. 1949년엔 시천면, 삼장면 주민들이 당했고, 1951년엔 금서면 주민 수백명이 학살 당했다.

학살 당해야 할 아무런 증거도 없었다. 용케 살아남은 유족들은 피해 보상은 커녕 ‘빨갱이’ 가족이라는 누명 속에 반평생을 보내야 했다. 군사정권이 물러갈 때 까지.

지독할 정도로 무섭고 두려웠기에, 유족과 친지들은 내 가족, 내 벗을 죽인 자와 그 일파들에 대해 짐짓 호감을 표해야 했고, 사건 진상을 덮으려는 군사 정부와 그 측근, 후예들이 이 지역 정치 주도권을 잡도록 선거 때 도와야 했다.
   

산청 학살에 대해 부산-경남 지역 역사연구소의 한 논문은 학살 당한 피해에 그치지 않고, 누명을 쓴 후손과 지인들은 평생 다양한 불이익을 겪어야 했으며, 학살 사건 은폐, 왜곡, 피해자가 죄인이 되어야 하고 가해자가 승승장구하는 가치 전도를 겪으면서 극심한 심리적, 신체적 상처를 입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1960년 산청의 두 차례 학살사건에 대한 국회 특별법 발의 움직임이 있었지만 1961년 군사쿠데타가 일어나면서 중단되고 오히려 진상규명을 하려는 사람들에게 대해 더 가혹한 제재가 이어졌다.

2000년 6월 산청군의회는 산청(시천, 삼장) ‘양민 학살’ 사건 진상조사 실태보고서를 펴낸다. 지금 산청은 이 사건을 ‘시천-삼장 민간인 희생 사건’이라고 수위를 낮춰 표현한다. 억울한 양민을 상대로 한 대규모 학살 사건인데도, 사건 이름만 접하면 몇 명이 어쩌다 희생당한 정도의 느낌이다.

아직 산청에는 무섭고도 지독했던 학살사건의 진상을 밝히고 누명을 벗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시천-삼장 민간인희생자 유족회는 10일 시천면 신천리 곡점 위령제단에서 제25회 합동위령제를 개최했다.

위령제에는 허기도 산청군수와 군의원, 유관기관 단체장, 유가족을 비롯한 전국유족회원 등 200여명의 추모객들이 참석했다.

유족들은 1989년 9월 6일 위령비 건립추진위원회를 결성한 뒤, 1990년 5월 26일 유족회를 결성했다. 1994년 4월 26일 위령비 제막식을 개최한 이후 지금까지 꾸준히 진상조사 활동을 펼쳐왔다.

abc@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