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댓글파문’ 포털 전반 번지는데…뉴스 유통 개선 논의 ‘주춤’
뉴스종합| 2018-05-15 18:39
- 다음ㆍ네이트, 현 뉴스 시스템 유지
- 아웃링크 도입 논의, 동력 상실
- “포털-언론 파트너십부터 바꿔야”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 파문이 네이버를 넘어 포털업계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지만, 정작 포털의 뉴스 유통 개선 논의는 지지부진이다.

아웃링크 도입은 지난 9일 네이버의 뉴스/댓글 서비스 개편안 발표 이후 다소 동력을 잃은 상태인데다, 네이버뿐만 아니라 다음, 네이트 등 포털사이트들은 여전히 ‘뉴스 서비스’를 계속하겠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근본적으로 포털에 종속된 뉴스 유통 구조를 바꾸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15일 포털업계에 따르면, ‘드루킹’ 관련 수사가 포털업계 전체로 번지는 가운데 다음, 네이트를 각각 운영하는 카카오, SK커뮤니케이션즈(SK컴즈)는 당장은 뉴스 서비스를 개선할 계획은 없는 상태다.

앞서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뉴스편집, 실시간 검색어 개편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지 않다”며 “아웃링크 역시 과거 카카오톡 채널에서 시도해봤던 방안이나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선을 그었다.

SK컴즈 관계자도 “법과 제도를 준수하며 서비스 개편 방향을 고민하고 있으나, 3사마다 처한 입장과 상황이 다르다보니 현재로서는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긴 어렵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지난 9일 긴급 간담회를 열고 뉴스 편집에서 손을 떼고 모바일 첫 화면에서 뉴스를 빼는 것을 골자로 한 개편 계획을 내놨으나, 결국 뉴스 유통권을 완전히 포기하지는 않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포털에서 기사를 클릭하면 언론사 홈페이지로 연결되는 아웃링크 도입 역시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개별 언론사와 협의하겠다고 함으로써 사실상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다. 여기에 아웃링크 설문조사에서 도입에 찬성한 언론사가 1곳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도입 주장은 사그라진 상태다.

전문가들은 포털에 종속된 현재의 뉴스 유통구조부터 변화시키지 않는 이상, 아웃링크 도입을 포함한 현재의 개편안은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한다. 댓글 조작 논란이 정치적 이슈로 비화하고 각 진영의 이해관계에 매몰되면서 뉴스유통 구조에 대한 사회적 공론화를 방해하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또, 포털과 언론사가 상생하기 위해서는 포털이 언론사를 단순 콘텐츠제공자(CP)가 아닌 파트너로 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안민호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포털과 계약한 언론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포털에 뉴스 콘텐츠 저작권료(전재료)의 주도권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62%에 달했다. 상호협의를 통해 협상을 진행한다는 응답은 15%, 무응답은 20%, 언론사에 주도권이 있다고 답한 경우는 3%에 불과했다.

협상 과정에서 명확한 전재료 산정 기준이 있냐는 질문에는 ‘없다’는 응답이 47%, ‘잘모름’이 20%에 달했다. ‘있다’는 응답은 18% 수준이었다.

황근 선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이미 포털이 뉴스 장사를 하고 있는 상황에서 하루아침에 뉴스 유통구조를 바꾸기는 어렵다”면서도 “근본적으로 포털과 언론사의 파트너십부터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뉴스 유통구조 개선 논의는 정치적 이슈와 따로 생각해야 한다”며 “해외에서는 뉴스서비스를 하게 되면 이를 명시하고 그에 따른 사회적 책무를 지게 되는데, 국내 포털도 사회적 책임을 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yuni@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