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트렌드&종목브리핑
남북경협 기대감 건설株…여전히 불안
뉴스종합| 2018-06-25 09:07
- 남ㆍ북ㆍ러 인프라 연결 구체화에도 주가 지지부진
- 준공 후 미분양 증가 등 주택시장 수익성 악화
- “주택 시장 비중 높은 중소형 건설사 투자 유의해야”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남북 정상회담 이후 남ㆍ북ㆍ러 경제협력을 위한 토대가 구체화되고 있지만 정작 건설 종목에 대한 투자 심리는 되살아나지 못하고 있다. 주택시장이 하락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신호가 곳곳에서 나오는 데다 정부의 보유세 강화 방안이 구체화되면서 건설 경기 전망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중소형 건설사에 대한 섣부른 투자는 삼가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2일(현지시각)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한국과 북한, 러시아 간 철도ㆍ전력망ㆍ가스관 연결을 위한 공동연구에 나서기로 합의했다. 양국 정상은 북한의 본격적인 핵폐기 조치가 나오고 대북 제재가 완화되면 곧바로 3국을 잇는 교통ㆍ물류ㆍ에너지 경제 협력 프로젝트를 가동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공동연구 합의는 건설업종의 기대를 모았던 경협사업이 구체화 단계에 들어간 첫 사례다. 인프라 상황이 열악한 북한의 경제 사정 상 경협이 본격화되면 건설업종이 최대 수혜주가 될 것으로 꼽혀왔다.

그러나 건설업종 주가는 최근 경협 관련 소식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고 있다. 3월 말 이후 급상승했던 건설 종목 주가는 지난 12일 북미 정상회담을 기점으로 줄곧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코스피 200 건설업종 지수는 12일 이후 현재까지 10% 가량 하락한 상태다.

미국의 금리인상과 미ㆍ중 무역전쟁 여파로 전체 증시가 좋지 않았던 것도 주가 부진의 이유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건설 경기의 근간이 되는 주택 시장의 불황이 주가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분석한다.

김형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수도권 입주 물량 증가와 금리인상, 부동산 규제정책에 이어 하반기 보유세 인상으로 국내 부동산 시장은 조정 국면에서 하락 국면으로 전환될 것”이라며 하락의 조짐이 숫자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8ㆍ2 부동산 정책 이후 감소하기 시작한 전국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지난 4월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로 급감했다. 특히 5월 서울 지역 아파트 거래는 5505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반토막 났다.

실제 거래 가격도 하락세다. 4월 전국 아파트 가격은 전월대비 1.81% 하락했다. 수도권과 서울도 각각 2.16%, 2.03% 하락세를 보였다.

다시 늘어나고 있는 미분양은 건설사의 수익성을 위협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4월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은 1만 2683세대로 전체 미분양의 21.3%를 차지했다. 김세련 SK증권 연구원은 “미분양이 5개월 연속 전년 대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며 “대규모 입주 물량이 도래하는 상황에서 준공 후 미분양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부동산 시장에 대한 경고로 해석된다”고 우려했다.

김세련 연구원은 “주택 시장의 상황이 좋지 않은 만큼 이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지방 중소형 건설사의 경우 밸류에이션이 낮다고 해서 매수 타이밍으로 판단해 접근하는 것은 리스크가 매우 크다”고 경고했다.

다만 대통령 직속 재정개혁특위가 제시한 4가지 종합부동산세 개편안은 건설 업종 주가에는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위는 ▷공정시장가액 비율 인상 ▷세율 인상 및 누진도 강화 ▷공정시장가액 비율 인상 및 누진세율 강화 ▷1주택자와 다주택자 간 차등 과세 등 4가지 개편안을 내놨다.

윤석모 삼성증권 연구원은 “종부세 개편 시 최대 1조3000억원의 세부담이 늘어나겠지만 실제로는 주택보다 토지, 개인보다 법인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세련 연구원 역시 “시나리오 대로라면 1주택자 기준으로 유효세율은 0.3~0.4%로 예상한 수준 보다 규제 강도가 낮다”며 “건설 업종의 단기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why37@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