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경찰서 사망 경관 영결식
신고를 받고 출동했다가 정신이상자가 휘두른 흉기에 숨진 경북 영양경찰서 고 김선현(50) 경감의 사망을 두고 일선 경찰관들은 침통한 분위기다. 경찰 내부 게시판 등에서는 엄정한 공권력 집행이 어려운 일선 경찰관들의 현실에 대한 성토와 함께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경찰은 10일 김 경감의 영결식까지 전국의 모든 경찰서에 추모의 뜻으로 조기게양을 지시했다. 의경을 포함한 모든 경찰관들은 상의에 근조 리본을 달고 근무를 했고, 경찰서 안에서는 30초 동안 묵념 행사가 진행되기도 했다.
경찰들 사이에서는 숨진 김 경감을 위한 모금 운동 제안도 나왔다. 충남의 한 경찰관은 “2만원, 3만원 등을 의무적으로 걷고, 그 이상은 자율모금으로 진행해 유족의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주면 좋겠다”는 글을 내부 게시판에 올렸다.
애도 분위기와 함께 경찰관들 사이에서는 분노의 목소리도 나왔다.
지난 9일 경찰 내부 게시판에는 “언제까지 경찰관이 죽도록 방치할 것인가요?”란 제목의 글 올라왔다. 부산의 한 일선 경찰서 소속인 글쓴이는 “경찰관을 폭행하고 대항해도 법원에 가면 솜방망이 처벌을 하니 제복입은 공무원들을 만만하게 본다”며 “공무집행방해 사건에 대한 법원 판단은 국민 법 감정과 너무 동떨어져 있다”고 호소했다.
인력 재배치 문제와 집행이 어려운 경찰 대응 매뉴얼도 이번 피습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테이저건도 제대로 쓸 수 없을 정도로 까다로운 제한 탓에 공권력을 엄중하게 집행하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인력까지 부족하다 보니 주취자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는 주장이다. 실제로 올해 전국 경찰의 인력배치 비율은 지역경찰이 41%, 경찰서 40%, 지방청 16%로 나타났다. 일선 경찰관들은 지역경찰의 비율을 최소 60%까지 높여야 112 신고 사건에 제대로 대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지역경찰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게시물에는 하루 새 150개가 넘는 댓글이 달리며 동료 경찰들의 공감 얻었다. 한 일선 경찰관은 댓글을 통해 “일선 경찰의 총기사용 제한이 지나치게 엄격하다”며 “시민을 지켜야 하는 경찰관들의 손과 발을 묶어놓은 근무 방식이 문제”라고 공감을 나타냈다.
유오상 기자/osyo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