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靑 “대북 특사파견, 항상 검토하고 있다”
뉴스종합| 2019-05-17 11:10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브리핑
북한 식량지원 원칙 이미 확정
한미, 北단거리 발사체 분석중
리비아서 피랍 60대 무사 석방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17일 오전 청와대에서 리비아 피랍 한국인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

청와대는 6월 한미정상회담 이전 북한 입장을 듣기 위한 대북특사 파견 가능성에 대해 “항상 검토하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6월 한미회담 전 북한 측 입장을 듣기 위한 남북회담이나 특사파견이 추진되고 있느냐’는 기자들 질문에 “(대북) 특사 파견 가능성은 전부터 말씀드렸지만, 항상 검토를 하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정 실장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대북 식량 지원이 어려워진 게 아니냐’는 질문에 “식량 문제는 안보 사항과 관계없이 인도적 측면에서, 특히 같은 동포로서 검토해야 한다고 본다”고 했다.

정 실장은 “정부는 대북 식량 지원 원칙을 이미 확정했고, 이를 어떻게 추진하느냐 하는 구체적인 방안에 관해 다양한 준비를 하고 있다”며 “조만간 정부의 대북 식량 지원의 구체적 계획을 국민께 밝혀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주한미군이 최근 북한이 쏜 발사체가 탄도미사일이라고 결론 내렸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선 “우리도 보도를 봤지만, 그것은 주한미군 사령부 공식입장이 아니다”라며 선을 그었다. 정 실장은 “북한이 발사한 단거리 발사체 제원에 대해선 ‘양국 정부가 긴밀히 분석 중’이라는 게 공식입장”이라며 “분석 중”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앞서 정 실장은 브리핑을 통해 “지난해 7월 6일 리비아 남서부 자발 하사우나 소재 수로관리회사인 ANC사 캠프에서 무장괴한 10여명에게 납치된 우리국민 주모 씨가 피랍 315일 만에 한국시간 어제 오후 무사히 석방됐다”고 했다.

정 실장은 “우리 정부는 피랍사건 발생 직후 외교부와 국가정보원을 중심으로 ‘범정부 합동 TF’를 구성해 리비아 정부는 물론 미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 주요 우방국 정부와 공조해 인질 억류지역 위치 및 신변안전을 확인하면서 석방 노력을 기울여왔다”고 했다.

특히 지난 2월말 서울에서 개최된 한ㆍUAE 정상회담에서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나흐얀 왕세제 겸 통합군 부총사령관이 문 대통령에게 주 씨가 석방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약속한 것을 계기로, UAE 정부가 사건해결에 적극 나서면서 우리국민이 안전하게 귀환하는 성과를 이끌어 냈다고 정 실장은 설명했다.

주 씨를 납치한 세력은 리비아 남부지역에서 활동하는 범죄 집단으로 확인된 것으로 밝혀졌다. 자세한 납치경위와 억류상황 등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조사를 진행 중이다.

정 실장은 “현재 주 씨는 우리 정부에서 신병을 인수해 현지 공관의 보호 하에 UAE 아부다비에 안전하게 머물고 있다”며 “18일 귀국할 예정”이라고 했다. 주 씨는 현지 병원에서 1차 검진 결과, 건강에는 별다른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귀국 후에 추가로 정밀 검진을 받을 예정이다.

정 실장은 “정부는 주 씨의 무사귀환을 위해 힘쓴 우방국 정부에 감사를 전하며, 특히 가능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으면서 주모 씨 석방에 결정적 역할을 해준 UAE 정부와 모하메드 왕세제에 우리 정부와 문 대통령의 각별한 감사의 뜻을 전했다”고 했다.

정 실장은 “앞으로 정부는 위험지역 체류 국민들에 대한 안전계도 활동을 강화하는 등 보완책을 마련해 유사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강문규ㆍ윤현종 기자/factis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