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지역별 전력자립도 천차만별…‘분산형 전원’ 해법 주목
뉴스종합| 2019-09-26 08:46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중앙 집중형 전력공급 방식에 따른 지역별 전력자립도 불균형이 심각한 현실 속에 ‘분산형 전원’을 대안으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정부가 지난 4월 발표한 제3차 에너지 기본계획에서 분산형 전원 공급체계로의 전환을 천명하며 각 지방자치단체와 관련업계의 주장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분산형 전원’은 전력이 필요한 곳에 소규모 발전설비를 지어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해 그 지역에서 전력을 소비하는 자급자족의 형태다.

분산형 전원이 주목받는 이유는 발전설비들이 일부 지역에 쏠려 있는 탓에 지역별 전력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어서다.

분산형 전원이 지역간 에너지 자립도 불균형을 해소할 대안으로 손꼽히고 있다. 사진은 SK E&S가 운영하고 있는 위례 LNG 열병합발전소 전경. [제공=SK E&S]

실제로 화력발전소가 밀집한 인천과 충남의 전력자립도는 각각 252.5%와 249.2%로 가장 높은 반면, 전력 소비가 생산보다 많은 서울(1.3%), 대전(1.9%) 광주(5.9%) 등 대도시의 전력자립도는 매우 낮은 실정이다.

이는 국내 발전량의 65%를 차지하는 원자력, 석탄 발전소가 동·서 해안지역에 밀집해있기 때문이다. 중앙 집중형 전원 방식에 따라 수도권까지 전력을 끌고 오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송전탑과 변전소 등을 설치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송전탑 건설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환경요인을 우려하는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송전설비 확충이 갈수록 어려워지는 실정이다.

단적인 예가 최근 마침표를 찍은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송전설비 건설이다.

한국전력은 2014년부터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으로 전력을 공급할 서안성~고덕 송전선로 건설을 추진했으나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5년 이상 건설이 지연됐다.

결국 평택 3라인 착공을 앞둔 삼성전자가 한전을 대신해 수백억원을 들여 송전선로 지중화 비용을 부담하기로 하면서 갈등에 마침표를 찍었다.

최근에는 동해안~신가평간 500kV 송전선로 건설 사업과 관련해 송전탑이 들어서는 강원지역 5개 시군이 사업 백지화를 위한 공동 대응에 나서며 송전설비 건설을 둘러싼 논란은 가중되고 있다.

분산형 전원은 갈등과 비용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꼽힌다.

분산형 전원은 태양광, 풍력, 에너지저장장치(ESS), 연료전지 등 수요지 인근에 위치한 소규모 발전설비로,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해 일정 지역에 공급하는 열병합발전이 대표적이다.

분산형 전원은 자체 생산한 전력을 소비하면서 남은 전력을 전체 전력계통으로 보낼 수 있고 송전탑 건설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해소할 수 있다. 때문에 각 지역의 에너지 자립도를 높일 수 있는 분산형 전원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분산형 전원에 대한 확대 의지를 분명하게 밝힌 것은 매우 긍정적”이라면서도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분산형 전원이 적어도 적자는 보지 않도록 하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igiza77@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