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제1노총’ 민노총, 우려 목소리 새기고 사회적 책임 다해야
뉴스종합| 2019-12-26 11:47

문재인 정부 들어 급격히 세를 늘려온 민노총이 결국 조합원수에서 한노총을 제치고 제1노총이 됐다. 1995년 창립된 지 23년만이다. 민노총 조합원수가 한노총보다 3만5000명 더 많지만, 법외노조로 민노총 소속인 전교조 등을 감안하면 격차는 더 크다.

노동계의 무게 중심이 한노총에서 민노총으로 바뀌면서 노사정 관계는 물론 사회 전반으로 파장이 클 것으로 보인다.

당장 우려의 목소리가 크게 들린다. 그동안 민노총이 정치파업이나 자신들의 의견을 관철하기 위해 법질서를 도외시하는 모습을 보였던 과거 행태에 대한 불안감 때문이다. 일반 국민들은 민노총이 한노총보다 강성이란 이미지가 각인돼 있는 상황이다. 향후 노사관계가 대화와 협력보다는 대립과 투쟁으로 흐를 것이란 걱정 어린 목소리가 재계에서 나오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사회적 대화창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가 잘 굴러 갈 지에 대한 걱정도 나온다. 경사노위는 그동안 한노총이 제1노총 지위로 참석하면서 그나마 운영됐는데, 민노총이 1노총이 되면서 변화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최저임금위원회는 물론 노동계가 참여하는 70여개의 정부 위원회에 더 많은 지분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민노총은 25일 입장문을 통해 노정관계의 새로운 틀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가 협의에 적극 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제2노총이란 이유로 각종 위원회 위원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는데 즉시 재배정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상황이다.

더욱 우려되는 것은 양측의 세불리기 싸움이 치열해질 것이란 점이다. 양대 노총은 이미 내년을 ‘조합원 확대의 원년’으로 삼을 태세다. 조합원이 100만 명인 민노총은 ‘200만 조직화’를 언급하고, 1노총 지위를 뺏긴 한노총은 내년 1월 새 지도부 선출을 앞두고 세 불리기는 물론 선명성 경쟁을 벌이는 상황이다.

민노총이 이 같은 우려를 불식시키려면 1노총에 걸맞은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경청해야 한다. 강성일변도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대화와 타협을 우선하는 태도 변화가 요구된다. 대기업 정규직 중심의 민노총이 상대적으로 소외된 중소기업 비정규직 노동자의 권익보호에도 더 큰 관심을 보여야 한다. 아울러 사업장과 무관한 정치이슈에 대규모 파업을 벌이는 것도 재고해야 한다.

내년 경제가 어렵다는 것은 이젠 새삼스러운 얘기도 아니다. 민노총이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1노총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고, 강경과 투쟁 일변도 흐를 경우 내년은 물론 앞으로 한국경제의 앞날이 어떨지는 뻔하다. 기대보다 우려의 목소리를 민노총이 새겨야 하는 이유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