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타다, 더이상 못탄다]멈춘 타다 후폭풍…‘모빌리티 혁신’ 좌초 위기  
뉴스종합| 2020-03-05 10:31
[VCNC 제공]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타다 금지법’ 국회 통과가 사실상 확실시되면서 국내 모빌리티 업계가 ‘반쪽’으로 쪼그라들 위기에 처했다.

렌터카 기반 차량 호출 사업이 중단되면 택시 등에만 의존하는 특정 형태의 모빌리티 서비스만 가능해져 업계 전반이 급속도로 위축될 전망이다.

지금까지 200만명 수준의 사용자들이 생산한 각종 데이터가 사라지고, 이들 데이터에 기반한 ICT(정보통신기술) 연계 서비스 개발도 막혀 모빌리티 혁신 싹이 제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당장 타다를 비롯한 동종 서비스들의 사업 확대에 제동이 걸리게 됐다.

타다 측이 서비스 중단 입장을 밝히면서 1500대인 렌트 승합차를 1만대로 늘리려던 계획도 물거품됐다.

교통 약자를 대상으로 한 ‘타다 어시스트’, 기업 대상 ‘타다 비즈니스’, 공항 이동 전용 서비스 ‘타다 에어’ 등 타다의 종합 모빌리티 서비스 목표도 좌절됐다.

쏘카 자회사로 타다를 운영해온 VCNC가 독립 기업으로 분리해 사업을 확장할 예정이었지만 이 역시 수포로 돌아갔다. 이로써 국내 모빌리티 업계 첫 ‘유니콘 기업’ 탄생 가능성도 소멸됐다.

올 상반기 투자 유치에 나선 차차, 연내 차량을 300대까지 늘리겠다던 파파 등 타다 동종 서비스도 직격탄을 맞았다.

‘타다 금지법’에 이어 국토교통부의 ‘택시제도 개편안’도 법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앞서 국토부는 올해 주요 업무 추진 계획으로 이 같은 내용을 포함시켰다. 택시 면허 기반 ‘플랫폼 택시’ 등 정부가 택시 중심으로 모빌리티 산업을 적극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다양한 형태의 모빌리티 서비스가 제공될 수 없다는 반발이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타다 등의 서비스가 잇따라 막히면서 한국은 모빌리티 사업 환경이 척박하다는 인상도 더욱 남기게 됐다.

글로벌 승차공유 서비스 우버는 2014년 국내서 검찰에 고발된 뒤 이듬해 서비스를 종료했다. 같은 해 국내 첫 공유버스 서비스를 시작한 콜버스랩도 규제 장벽에 갇혀 결국 사업을 접었다. 2016년 연달아 등장한 카풀 스타트업들도 택시 업계와 정부 규제 압박에 줄줄이 퇴진했다. 카카오모빌리티도 사업 한 달 만에 ‘카카오T 카풀’을 중단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모빌리티 잔혹사가 거듭되면서 해외 자본 투자 유치도 더욱 어려워졌다”며 “결국 모빌리티 스타트업들이 도전할 수 있는 기회가 사라진 셈”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타다 플랫폼에 축적된 다양한 빅데이터 활용 서비스 개발도 불가능해졌다. 타다 서비스 가입자만 170만명 이상이고 동종 서비스까지 포함하면 200만명 수준인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이에 데이터 기반 개인화 서비스 및 구독경제 모델 발굴, 사물인터넷(IoT) 기반 모빌리티 사업 확장 등이 무산될 수 있다는 분석도 따르고 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설명자료를 내고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개정안은 정부와 국회, 택시와 모빌리티 업계가 협의를 통해 마련한 법안”이라며 “이번 개정안을 통해 타다, 벅시, 차차 등 렌터카 기반 사업은 제도권 안에서 지속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고 밝혔다.

killpass@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