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벤처
‘공적 마스크’ 단가 놓고 마스크업체 불만 폭주
뉴스종합| 2020-03-06 10:31

기준가에 장당 100원을 더해 책정한 ‘공적 마스크’ 공급 조건에 대해 마스크업체들의 불만이 들끓고 있다. ‘뭉칫돈’의 유혹을 마다하고, 주 52시간도 포기하며 물량을 맞추고 있는데 경영환경을 무시한 가격책정이란 것이다.

치과재료 생산업체인 이덴트는 6일 마스크 생산 중단을 전격 결정했다. 조달청에서 요구한 단가와 생산수량이 이덴트가 감당할 수 없는 범위라는 이유에서다.

신선숙 이덴트 대표는 홈페이지에 올린 사과문에서 “조달청에서는 생산원가 50%정도만 인정해 주겠다는 통보와 일일 생산량 10배에 달하는 생산수량 계약을 요구하고 있다”며 “11년 된 생산도 원활하지 않은 기계를 돌려가며, 더 이상 손실을 감수하면서까지 이덴트 마스크를 생산해야 하는 의욕도 완전 상실한 상태”라고 밝혔다.

이덴트의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정부 측은 당초 단가가 완연히 다른 품목인데, 가격을 무리하게 올려받으려 했다고 반박했다. 이덴트가 생산하는 의료용 마스크는 KF80, KF94 등 방역용 마스크 단가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데, 이덴트 측은 이를 같은 수준으로 놓고 단가를 책정해달라고 요구했다는 것이다. 당초 무리한 단가를 요구해놓고 협상 결렬을 정부 측 책임으로 돌리고 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덴트의 생산 중단 선언 이면에는 다른 마스크업체들의 불만도 잠재해 있다. 정부의 일방적인 공적 마스크 수급정책에 대한 불만이 언제든 다른 곳으로도 번질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지적이다.

정부가 일방적으로 공적 물량을 50%에서 80%로 높이면서 제시한 가격이 마스크업체들의 경영 상황을 온전히 반영하지 않은 수준이라는 게 불만의 요지다. 정부는 마스크 대란이 벌어지기 이전의 가격(기준가)에서 장당 100원 정도를 더한 가격을 매입 가격으로 제시했다.

한 마스크 제조 중소기업은 “유통업체와 연간 계약으로 생산 물량을 맞춰 놓은 업체들은 마스크 대란에도 단가를 마음대로 올릴 수 없었고, 기존 가격으로 거래를 해 왔다”며 “마스크 대란 때문에 주 52시간을 포기하면서 생산량을 늘리느라 연장근무 수당만 해도 상당하다. 그런데 ‘기준가+100원’이란 가격은 이런 비용 부담을 상쇄하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토로했다.

다른 마스크업체 관계자도 “업체들 사이에서는 공적 물량을 50%에서 갑자기 80%로 올린 결정에도 부담을 느끼고 있다. 이 비율을 설정하는 과정이 얼마나 투명했는지, 물량이나 가격을 산정하는 과정에서 업체들의 입장을 고려했는 지 의문이 든다”고 전했다.

도현정 기자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