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박원순 서울 시장, “밀라노시에 진단키트 수출 방법 고민 중”
뉴스종합| 2020-03-30 09:50
박원순 서울 시장이 27일 세계 31개국 45개 도시 시장들과 화상 회의를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서울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창궐 중인 이탈리아 밀라노 시에 한국의 진단키트를 수출하는 방법을 검토 중이다.

박원순 서울 시장은 30일 오전 YTN라디오 ‘노영희의 출발 새아침’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지난 27일 31개국 45개 도시 시장들과 가진 코로나19 국제화상회의를 언급하면서, “(살라)밀라노 시장이 나와서 얘기했는데 아주 참담한 시간이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한국의 신속한 진단 시스템에 대해 굉장히 경탄하고, 키트를 구했으면 좋겠다고 해서 수출 방법을 함께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유례없는 전세계적인 대재앙 앞에서 스스로 방역을 지키는 서울의 시민의식을 전세계가 주목하고 있더라”면서 “(국제화상회의에서)정말 감탄의 목소리가 쏟아졌는데, 서울 노하우를 공유해달라해서 시장으로서 감사드린다. 위기 순간에도 흔들리지 않았던 성숙한 시민의식은 영원히 기억될 것이라고 본다”며 시민의식을 치하했다. 또한 “회의가 끝나고 나서도 아테네 시장 등이 통화해서 여러가지 자료를 얻고 싶다 했다”고 덧붙였다.

박 시장은 지난 27일 오후11시15분 시장집무실에서 LA, 런던, 밀라노, 로마, 마드리드 등 도시 합산 인구가 3억6000만명에 이르는 31개국 45개 도시 시장들과 약 70분간 화상회의를 갖고, 서울의 코로나19 방역과 대응 노하우를 발표했다. 박 시장은 드라이브 스루, 워킹스루 같은 선별진료소를 도입해 환자와 의사의 감염을 막은 점, 환자 중증도에 따라 치료시설을 분리 운영한 점 등을 상세히 소개하고, 시민 이동을 통제하지 않으면서 대도시 서울의 도시기능을 유지하고, 확진자 동선 같은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 감염 위험을 차단할 수 있었던 것은 성숙하고 민주적인 시민의식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강조했다.

확진자가 8000명이 넘은 밀라노 시는 서울의 우호도시다. 서울시 국제교류 담당 관계자는 30일 “밀라노 시가 공식적으로 물자 요청을 해 온 것은 없지만, 물자 부족 등 현지 상황이 긴급하고, 한국의 진단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으니 수출을 할 수 있게 도와주면 좋겠다는 얘기가 오가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세계 여로 도시에서 서울시에 기부 요청을 하는 곳들이 있는데, 예산이 한정돼 있어 쉽지 않고, 초기에 중국에 방역물품을 지원했다가 여론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검토하는 단계”라고 했다.

박 시장은 또한 서울시의 집회금지 행정명령에도 불구하고 29일 오프라인 예배를 강행한 성북구 사랑제일교회에 대해 “행정명령에 응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전적으로 책임을 물으려 한다. 고발하면 벌금 300만 원씩 물게 된다”고 경고했다. 그는 “교회 지도자에게 (예배 자제 등)요청을 드렸는데 사실 대부분 교회에서 협력해주신다. 다만 사랑제일교회만 7대 방역수칙을 지키지도 않고 오히려 공무원을 협박, 폭행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신천지 관련 단체인 ‘새 하늘 새 땅 증거장막성전 예수선교회’ 법인 취소 등 일련의 서울시 조치에 대해 일각에서 종교 탄압을 제기하는 것과 관련해 박 시장은 “종교의 자유는 헌법상의 자유고, 극도로 존중되어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시는 신천지라는 단체가 저지르는 불법행위, 코로나 예방방역 방해해위에 대해 책임을 묻는거다. 종교의 자유가 국민 생명권 보다 위에 있지 않다는 원칙과 상식에 근거한 것이며, 온 시민이 이에 동의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시는 중앙정부의 긴급재난생활비 100만 원 지급 추진과 관련해선 서울시 지원(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중 기존 정부 지원 가구를 제외한 117만7000가구에 오는 6월까지 쓸 수 있는 지역사랑상품권 또는 선불카드를 두달간 100만원 지급)에 이어져서 지급되면 “적어도 3개월을 견디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서울시와 달리 소득과 관계없이 도민 전부에게 긴급재난생활비를 주는 경기도에 대해선 “재난이라는 게 누구에게 동일하게 다 오고 있는 것 같지만 가장 어려운 계층에 가장 심각하게, 가장 깊게 찾아오기 마련”이라며 “재원 한계는 분명하고 상황이 촉박한 가운데선 누구에게 손을 먼저 뻗어야하는 지 명약관화하지 않나”며 서울시 지원 방식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 긴급재난생활비 지원 신청은 30일부터 가능하다. 지급받는 현금성 모바일카드는 6월까지 무조건 사용해야한다.

jsha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