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반
中 보조금 증가…국내 배터리업계 '악재'
뉴스종합| 2020-04-02 09:18

LG화학 중국 난징 배터리 공장 전경. [LG화학 제공]

[헤럴드경제 이정환 기자] 중국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을 하려던 한국 전기차 배터리업체들에 또다시 제동이 걸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전방 산업인 완성차 생산·판매가 급감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내년부터 폐지하기로 했던 자국 업체 대상 보조금 제도를 연장키로 했기 때문이다.

유럽에서도 코로나19 여파로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를 완화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 보조금 폐지 시점을 올해 말에서 2022년 말로 2년 더 연장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중국 자동차 산업이 큰 타격을 입자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보조금 제도를 유지하기로 했다. 그러면서 이번에도 보조금 대상은 중국 정부가 지정한 차량 모델로 한정했다.

한국 업체들은 난감한 상황이다. 중국 시장이 빗장이 풀려 진입을 시작하려는 상황에서 또다시 중국 보조금 정책이 연장카드를 꺼내면서 한국 등 해외 업체들의 타격이 불가피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간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한국 업체의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은 보조금 지급 대상에 오르지 못하다가 지난해 말부터 빗장이 열렸다.

이들 업체는 보조금이 폐지될 예정이었던 2020년 이후 제품력을 앞세워 중국 배터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앞다퉈 중국에 대규모 배터리 공장을 건설, 수주전에 대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 업체들은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2월에 사상 처음으로 점유율 40%를 돌파했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의 2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자료에 따르면 LG화학(29.6%·2위), 삼성SDI(6.5%·5위), SK이노베이션(5.9%·6위)으로 3사 합계 점유율은 42.0%였다.

중국 시장 침체로 현지 1위 배터리 기업인 CATL은 점유율이 9.4%로 크게 하락했다. 그러나 3월에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본격화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보조금 빗장이 한번 열렸기 때문에 중국 정부가 해외 업체를 의도적으로 배제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악재만은 아니다"면서도 "중국 시장 침체가 심각해 연장한 보조금 정책을 어떻게 운용할지 긴장 속에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유럽에서도 코로나19 쇼크로 가솔린 차량 이산화가스 배출량 규제 완화 가능성이 제기돼 배터리 업계로서는 또다른 근심거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EU는 올해부터 평균 판매대수 기준 대당 연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95g/㎞를 초과하지 않도록 했지만 유럽 자동차업체들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이 기준을 맞추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유럽자동차제조협회(ACEA)는 최근 유럽자동차부품공업협회(CLEPA), 유럽딜러협회(CECRA) 등과 함께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에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를 완화를 요청하는 서한을 전달했다.

한국 배터리 업체들은 현재까지 코로나19 영향으로 수주 계약과 생산에 직접적 차질은 없다고 밝히고 있으나, 글로벌 완성차 생산·판매가 고꾸라지고 있고 경기 침체가 장기화할 조짐이라 연쇄적인 피해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