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전자.통신
“온실가스 없는 그린수소…생산 효율도 82% 증가”
뉴스종합| 2020-07-14 11:48
김창희 에너지硏 수소연구단장
“재생에너지로 생산 단가 절감”



“수소에너지 사회는 기존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류가 직면한 지구 온난화와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길입니다.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효율성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김창희(사진) 한국에너지연구원 수소연구단장은 14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이노베이트코리아 2020’에 참석해, ‘수소에너지가 가져다 줄 미래’를 주제로 이 같이 말했다.

수소 생산 방식은 크게 ‘개질수소’와 ‘수전해수소’로 구분된다. 개질수소는 화석연료인 천연가스와 수증기를 서로 반응시켜 수소를 추출해내는 방법이다. 현재 수소생산 기술 중 가장 저렴하며 대량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김 단장은 “국내 수소는 주로 정유공정의 납사 분해 과정에서 생산되며 대부분 자체 소비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연간 190~200만t 수소가 이를 통해 생산되지만 외부로 유통되는 건 13%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수전해수소는 재생에너지 전기를 이용해 물에서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생산단계에서부터 온실가스가 배출되지 않아 ‘그린(Green)’수소라 불린다. 하지만 높은 생산단가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았다.

지난 달 김 원장은 연구팀과 함께 안정적이고 고효율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부하변동 대응형 수전해 스택’ 개발에 성공했다. 태양광, 풍력 등과 같이 간헐성과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수소생산 효율을 82% 이상 향상시켰다.

미활용 전력을 활용한 수전해수소 생산량도 증가될 예정이다. 국내 총 전력량에서 재생에너지로 발전하는 비중은 2022년 10.5%에서 2030년 20%로 증가할 전망이다. 활용되지 않는 전력량도 2022년 1.1%에서 2030년 10.4%로 늘어날 것으로 분석된다.

김 원장은 2030년 수전해 시스템 효율을 50KWh/kg으로 가정하면 미활용 전력으로 생산 가능한 수소의 양이 21만t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그는 “제주도는 재생에너지 설비용량 확대에 따라 출력제한에 따른 미활용 전력이 2030년에는 최대 2.5TWh에 이를 것”이라고 말했다.

유동현 기자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