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당정 “의대정원 年400명 확대, 10년간 4000명 추가 양성…의대 신설·공공의대 설립 추진”
뉴스종합| 2020-07-23 08:52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의대정원 및 공공의대 설립 추진방안 당정협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용재 기자]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23일 방역 등 보건의료체계 강화를 위해 의과대학 정원을 늘려 향후 10년간 총 4000명을 추가양성하기로 했다. 또 공공의대를 설립하기로 하고, 의대가 없는 지역은 신설을 적극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당정은 이날 국회에서 김태년 원내대표와 조정식 정책위의장,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협의회를 열고 이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당정협의 후 조정식 정책위의장은 “지역 내 의사인력 부족 및 불규형 해소를 위해 현재 3058명인 의대 정원을 2022학년부터 400명 증원해 10년간 한시적으로 3458명 정원으로 확대, 총 4000명을 추가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연간 증원된 400명 중 300명은 지역의사제를 통해 지방에서 중증·필수 의료분야에 의무적으로 종사할 인재로 양성하기로 했다”며 “지역의사는 전액장학금을 받는 지역의사선발 전형으로 선발해 지역내 의료기관에서 10년간 의무적으로 중증에 필수 복무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또 “(증원된 정원 중) 연간 100명의 인력은 각각 특수 전문분야 50명, 의과학자 50명으로 양성하겠다”고 했다. 조 정책위의장의 설명에 따르면 특수전문분야는 역학조사관, 중증 외상 등이며 의과학 분야는 기초과학, 제약, 바이오 등 분야다.

조 정책위의장은 “의대가 없는 지역은 의대 신설을 적극 검토, 추진할 계획”이라며 “지자체 및 해당대학의 의지와 실행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기존 의대 정원 증원과 별도로 정원을 정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공공의대 설립은 공공이 필요로 하는 필수분야 중심으로 인재 양성하는 일종의 의무사관학교 형태로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brunch@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