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전자.통신
네이버 지원 ‘코로나앱’ 구글은 퇴출 왜?
뉴스종합| 2020-09-14 14:07

[헤럴드경제=채상우 기자] #1.지난 2월 대학생들이 개발해 화제가 된 코로나 현황 지도 애플리케이션 '코로나맵'. 질병관리본부 정보를 바탕으로 확진자 동선을 제공해 사용자들로부터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네이버는 서버 비용을 지원하며 전폭적인 지원에 나섰다.

#2. 같은 달 스타트업 티나3D가 개발한 코백. 정부가 공개한 확진자 동선에 이용자가 100m 이내로 접근하면, 경고 알람을 띄우는 방식이다. 따로 스마트폰을 들여다보지 않아도, 알람이 확진자 동선을 피할 수 있도록 도와줘 큰 인기를 끌었다. 당시 구글플레이 다운로드 100만건을 돌파했다.

스타트업과 학생들이 주축이 돼 코로나19 확산 초기 혜성 같이 등장한 코로나앱. 하지만 높은 주목을 받았던 이들 앱은 현재 구글 앱 장터에서 속속 퇴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에서 개발한 국내 코로나앱을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 구글측의 입장이다. 정부에서 제공한 데이터 기반으로 제작된 앱을 일방적으로 퇴출시키면서 업계에선 구글의 '갑질'이라는 목소리가 크다.

국내 구글플레이에서 유통되는 코로나 관련 앱은 8개가 전부다. 모두 정부, 지자체 그리고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제작한 앱이다. 민간 개발 앱은 4월 이후 모두 퇴출됐다. (사진=구글플레이 캡쳐)
구글과 애플 앱스토어에서 볼 수 없는 '코로나앱'

구글은 자사의 앱스토어 구글플레이에서 민간제작 코로나앱을 모두 내보냈다. 애플은 애초부터 민간 개발 앱을 입점시키지 않았다. 구글과 애플의 국내 앱스토어 점유율은 90%에 달한다. 사실상 독과점이다.

14일 국내 구글플레이에서 유통되는 코로나 관련 앱은 경남도의 '코로나19 경남', 서울시의 '코로나19 지침 검색', 행정안전부의 '안전디딤돌', 인천광역시의 '코로나19 꼼짝마' 등 8개다. 모두 정부 또는 지자체에서 개발한 앱이다.

애플 앱스토어에서도 정부 또는 지자체에서 개발한 앱 또는 관련 기구에서 만든 앱이 전부다. 이 앱들은 특정 지역의 지엽적인 확진자 동선만을 제공하고 있다. 행안부에서 제공한 앱에서도 전국 단위의 확진자 동선은 확인이 불가능하다.

반면 코로나 관련 앱은 국내 네이버와 통신 3사가 운영 중인 원스토어를 중심으로 유통되고 있다. 원스토어에는 111개에 달하는 코로나 관련 앱이 입점해 있다.

경희대 재학생 이동희 씨가 만든 코로나 확진자 동선 앱 '코로나맵'. 해당 앱의 정보는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공받는다. (사진=코로나맵 캡쳐)
정부서 정보 제공받는데 신뢰할 수 없다?

구글과 애플은 민간에서 개발한 앱의 정보를 신뢰할 수 없다는 이유로 입점을 금지시켰다. 하지만, 민간 개발 앱들도 코로나 정보를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공받고 있다. 신뢰성에서 차이가 없다는 게 업계 주장이다.

구글은 아울러 민간에서 개발한 코로나앱이 수익을 얻고 있는 것도 금지 이유로 들었다. 국가적 재난 상황을 가지고 돈을 버는 것은 도의적 책임에 어긋난다는 것이다.

특히 '코백'은 코로나로 인해 급증한 서버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 후원금을 받았다는 이유만으로 구글플레이에서 퇴출됐다.

구글·애플 이익 위한 갑질!" 업계 비판

업계는 구글과 애플이 신뢰성, 도의적 책임을 운운하는 것은 표면적 이유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구글과 애플이 공동으로 개발한 '코로나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유통 확대를 위해 민간 경쟁사의 싹을 자른 게 진짜 이유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구글과 애플은 지난 5월 '코로나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공동 개발을 발표했다. 또한 코로나 접촉자 추적 시스템도 함께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구글이 민간 앱을 퇴출한지 한달 만의 일이다.

업계 관계자는 "구글과 애플이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자사 사업 확대를 위해 갑질을 벌이고 있다"며 "구글과 애플이 주장하는 퇴출 사유에 대해 납득할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123@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