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반
‘K-수소’ 속도…규모의 경제 앞당긴다
뉴스종합| 2021-03-02 11:37
세계 최초로 제정된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수소법)’이 시행된 지난달 5일 서울 국회 수소충전소에서 관계자가 수소차량 충전을 하고 있다. [연합]

수소에너지의 무한한 잠재력에 주목한 각국 정부가 ‘수소경제’ 선점을 위한 경쟁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국내 대기업들도 보폭을 넓히고 있다.

생산·운송·활용 등 밸류체인의 일원화를 통해 ‘에너지 대전환’을 이루는 것이 공동의 목표다. 오는 2030년 수소 대중화를 위한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도 탄력이 예상된다.

▶규모의 경제 ‘진행형’=국내 ‘수소 생태계’ 조성엔 현대차가 중심에 있다. 수소차와 발전용 연료전지 등 활용과 확산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어서다.

2일 제3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SK그룹과 수소 사업 기반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에 앞서 지난달 16일엔 포스코와 탄소 중립을 골자로 한 협약도 체결했다.

한화솔루션은 케미칼, 큐셀, 첨단소재 부문이 모두 수소 관련 사업에 뛰어들며 새로운 밸류체인 형성을 기대하고 있다. 수전해 기술개발을 위해 투자한 금액만 300억원 규모다.

효성은 글로벌 화학사인 린데그룹과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2023년 완공을 목표로 울산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액화수소 공장 건설을 진행 중이다. 연간 생산규모는 1만3000톤이다. 아울러 두산그룹도 두산퓨얼셀이 수소연료전지를 생산하고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이 수소 드론을 개발하는 등 수소 산업으로 체질 전환에 성공했다.

▶글로벌 경쟁 ‘본게임’=해외 기업들도 잰걸음이다. 최근 수소전기차 신형 미라이를 출시한 토요타는 최근 포르투갈 버스 제조업체인 카에타노 버스 지분을 인수해 유럽 수소 버스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자체 개발한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전력회사와 열차, 해운 업계에 판매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스웨덴 볼보그룹과 독일 다임러 트럭은 공동으로 대형 트럭에 탑재될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생산하기 위해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 수소트럭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경쟁자와의 전략적 동맹으로 비쳐진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서울의 43.8배 규모(2만6500㎢)의 신도시 네옴에 세계 최대 규모 그린수소 생산시설을 짓고 2025년부터 하루 평균 650톤의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일본의 스미토모와 JGC홀딩스 역시 호주에 태양광 전해기 시설을 통해 연간 300톤의 수소를 생산할 예정이다.

그밖에 가와사키 중공업이 세계 최초로 액화수소 운반선을 개발하는 등 수소 운송을 위한 기술 개발도 이어지고 있다.

▶대중화 핵심은 ‘가격’=의 화두는 TCO(Total Cost of Owenership·총소유비용) 관점의 가격 경쟁력이다. 기존 내연기관은 물론 전기차보다 비용 부담이 높아서다.

블룸버그뉴에너지파이낸스(BNEF)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발전 단가 하락과 수전해 비용 개선 등 규모의 경제를 통해 2050년에 그린 수소의 생산단가가 현재 1㎏당 2.5~4.6달러에서 0.8~1.6달러 수준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재생 에너지-수전해-수소로 이어지는 그린수소의 생산을 위해 기업들이 기술 선점에 몰두하는 이유다. 긍정적인 시장 전망에 따라 수전해 프로젝트의 설비 용량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향후 비용 하락폭은 더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모빌리티와 발전용 연료전지 보급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보유한 국내 대기업들의 약진도 기대된다.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탈탄소화 목표 달성을 위한 필수 과제로 지목되기 때문이다.

김재경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수소경제 추진 기조를 정부주도형에서 탈피해 민간자본 투자 유치를 유도해 시장주도형 시장 경제를 조기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며 “재원 면에서 제한적인 정부 예산보다 민간자본 투자를 유도하는 것이 수소 대중화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부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