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지방캐피탈 가계대출 규제 덕에 ‘대박’
뉴스종합| 2021-08-19 11:35

지방 할부금융사들의 영업 행태가 변화하고 있다. 본업인 할부·신차금융 대신 개인신용·주택담보대출 등에 열중하는 모습이다. 은행권에 대한 정부의 규제강화로 비은행권의 이자시장이 호황을 맞고 있기 때문이다. 모기업들의 투자도 이어지고 있다.

올 상반기 지방 캐피탈사는 실적 ‘대박’을 터뜨렸다. 가장 큰 실적을 낸 JB우리캐피탈의 반기순이익(연결기준)은 1070억 원으로 전년 동기 실적(548억원)의 두 배에 가깝다. BNK캐피탈의 반기순이익은 714억원으로 전년 동기(447억원) 대비 59% 성장했으며, DGB캐피탈은 382억원으로 전년 동기(180억원)의 두 배 이상의 실적을 달성했다.

JB우리캐피탈의 금융자산 포트폴리오를 보면 신차금융은 42.1%에서 37.3%로 줄어든 반면 중고차금융은 14.1%에서 14.7%로, 개인신용은 8.6%에서 11.0%로 증가했다. 기업금융 및 투자금융도 4.8%에서 7.0%로 증가했다.

BNK캐피탈도 리스자산은 전년 말 32.6%에서 28.84%로, 할부금융은 4.23%에서 3.74%로 감소했다. 하지만 일반대출 규모는 2019년 말 58.4%, 작년 말 62.63%, 올해 6월 말엔 66.67%로 꾸준히 증가세다.

DGB캐피탈 역시 할부금융은 비중은 0.83%에 불과하지만 일반 대출 비중은 66.33%에 달한다. DGB금융지주 관계자는 “DGB캐피탈는 자동차·장비를 주력으로 하다가 작년부터 개인금융에 진입했다”며 “카카오, 핀다, 케이뱅크 등과 제휴를 통해 영업을 펼치며 크게 성장했다”고 귀띔했다. 또 다른 지방 캐피탈사 관계자는 “리스나 할부금융은 카드사들도 하기 때문에 경쟁이 더욱 치열하다”면서 “이 때문에 소매대출이나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을 늘려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지방금융지주들은 ‘알짜배기’가 된 캐피탈사의 포트폴리오를 더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홍승희 기자

hss@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