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2금융권 대출 규제 강화 카드사 ‘희비’
뉴스종합| 2021-09-17 11:17

금융당국이 은행권 가계대출 규제 강화에 따른 풍선효과를 우려, 2금융권 대출 관리에 대한 고삐도 당기고 있어 수익 확대 차원에서 대출을 크게 늘린 중하위 카드사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연 5~6% 증가의 관리 목표치를 밑돌고 있는 상위사들은 비교적 여유있는 모습을 보이는 등 카드사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17일 각사 반기보고서 등에 따르면 7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현대·롯데·하나·우리)의 올 6월말 카드대출(단기·장기) 잔액은 39조8862억원으로 작년말 대비 6.5%(2조4390억원) 증가했다. 전사 기준으론 이미 정부의 목표 기준을 상회하고 있는 셈이다. 단기대출인 현금서비스의 잔액은 5조9392억원으로 3.6%의 증가율을 나타냈고, 장기대출 카드론은 33조9470억원으로 7.0% 성장했다.

7개사 중 최대 증가율을 보인 곳은 우리카드로 전체 대출액이 같은 기간 14.0%(현금서비스 12.6%, 카드론 14.2%) 늘었다. 현대카드는 13.2%의 증가율로 두번째로 높았는데, 현금서비스는 4.9% 줄었지만 카드론이 16.0%나 늘었다. 현금서비스보다 이용규모가 큰 카드론 기준으론 현대카드가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롯데카드도 10%를 넘는 증가율을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현금서비스와 카드론 각각 8.0%, 10.8%의 상승률을 나타내면서 전체 기준 10.4% 증가했다.

업계 선두업체인 신한카드는 상반기 1.9%(현금서비스 1.7% 1.9%)의 대출을 증가율을 기록, 7개사 중 가장 낮았고 삼성(5.5%)과 KB(4.3%)도 대체로 목표 수준에서 관리되는 등 전반적으로 상위사들은 안정적인 모습이다. 하나카드의 대출 증가율도 3.1%로 비교적 양호했다.

일각에선 카드사들의 과도한 수익 추구 성향이 저신용 고금리 대출 이용자를 양산하고 있단 지적이 나온다. BC카드를 포함한 8개 카드사의 상반기 합산 순이익은 1조4940억원으로 작년 상반기 대비 33.6% 늘었다. 사별로 보면 우리카드는 순익이 52.3% 신장됐고, 현대와 롯데는 각각 9.7%, 68.9% 증가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현재 현금서비스의 이자율은 최저 4.90%에서 최고 19.95%의 범위에서 형성돼 있으며, 카드론은 3.90~19.95% 수준이다. 서경원 기자

gil@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