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그냥 쉬는 사람 50만명…“원하는 일거리가 없다”
뉴스종합| 2021-11-11 09:53

지난 10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일자리 정보 게시판의 모습. 1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쉬었음’ 인구 240만4000명 가운데 ‘원하는 일거리가 없어서’ 일을 쉰 사람은 48만8000명(20.3%)으로 집계됐다. . [연합]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원하는 일자리가 없어 쉬는 사람이 5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쉬었음’ 인구 240만4000명 가운데 ‘원하는 일거리가 없어서’ 일을 쉰 사람은 48만8000명(20.3%)으로 집계됐다. 쉬었음 인구 가운데 ‘일거리가 아예 없어서’ 쉬고 있는 사람도 24만6000명(10.2%)이 있었다.

쉬었음 인구는 현재 일할 수 있는 능력이나 일할 의사가 없는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취업 준비나 가사·육아 등을 하지 않고 그냥 쉰 사람을 뜻한다. 통계청은 1년에 한 번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를 통해 ‘쉬었음’ 인구가 일을 쉰 이유를 파악하고 있다.

이외 ‘직장 휴·폐업으로 쉬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5만5000명(2.3%), ‘일이 완료되거나 고용계약이 만료되어 쉬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4만9000명(2.0%)으로 각각 집계됐다.

이같이 고용시장 문제로 쉰 사람은 총 83만8000명으로 전체 쉬었음 인구의 34.9%를 차지했다.

이외 ‘다음 일 준비를 위해 쉬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17만4000명(7.2%) 있었다. 회사를 정년퇴직하거나 퇴사한 후 계속 쉬고 있는 사람은 35만7000명(14.9%)으로 집계됐다. 몸이 좋지 않아 어쩔 수 없이 쉬는 경우는 92만6000명(38.5%)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th5@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