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타협 모르는 검사·공정 이미지로 대권 잡았다
뉴스종합| 2022-03-10 11:1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막판까지 치열한 접전을 벌이던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10일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다. 정치 입문 255일 만이다. 지난해 6월 공정과 상식을 기치로 정계에 발을 들인 정치신인 윤 당선인은 불과 8개월 만에 정권교체의 주역이 됐다. 그러나 이번 대선에서 ‘누가 돼도 어려운 차기 정부’라는 말이 나온 것처럼 국정을 이끌어가며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만만치 않다. 당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폭증, ‘여소야대’ 국회와의 협치,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외교·안보 문제 등이 꼽힌다. 정치 경험이 전무한 윤 당선인은 5000만 국민의 전방위적인 국정운영 검증대에 오를 전망이다.

26년간 검사 외길 인생을 살던 윤 당선인을 대통령으로 만든 견인차는 ‘공정’을 향한 국민의 열망이다.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하며 결과는 정의로울 것’이라는 현 정부 기조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각종 입시 및 취업 비리, 양극화 심화, 집값 폭등 등으로 정권교체 여론으로 반전됐다.

이런 상황에 검찰총장으로서 현 정권에 칼을 겨눈 수사를 이끌며 갈등을 빚다가 결국 임기가 끝나기 전에 직을 내려놓은 윤 당선인은 단숨에 ‘야권 대장주’로 떠올랐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을 둘러싼 사모펀드 논란 및 입시 비리 의혹, 송철호 울산시장 선거개입 의혹, 월성원전 경제성 조작 의혹 등의 수사로 현 정부와 맞서는 모습을 보이며 ‘윤석열로 정권교체’라는 명분이 쌓였다. 특히, 조 전 장관의 후임이었던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취임 후 윤 당선인 측근의 인사이동, 수사지휘권 발동, 정직 2개월 징계 청구 등 윤 당선인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여갈수록 정권교체 목소리는 커졌다. 지난 2013년 박근혜 정부 첫 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사람에 충성하지 않는다”는 말로 ‘강골 검사’라는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것도 ‘네편 내편 가리지 않는다’는 윤 당선인의 공정 이미지에 한몫했다.

윤 당선인은 지난해 11월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확정된 후 그간 각종 실언 논란과 부인 김건희씨의 허위 경력 및 주가조작 의혹 등으로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와의 갈등, 선거대책위원회 해체,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의 단일화 결렬 등 여러 굴곡을 겪었지만 결국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 유승민 전 의원, 원희룡 전 제주지사 등 경선 경쟁자들과 안 대표와 원팀을 이루며 정권교체를 이끌어냈다. 정치권에서 통용되는 ‘10년 주기설(한 정당이 정권을 잡으면 두 번 연속 집권)’을 깬 셈이다.

그러나 최초의 국회의원 ‘0선’ 대통령이기도 한 윤 당선인은 수권 능력 증명이 최대 극복 과제다. 행정 경험이 없는 점은 대선 기간 내내 윤 당선인의 한계로 꼽히기도 했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른 방역 대응,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경제 양극화, 우크라이나 사태 등 국정 과제가 국내외적으로 산적해 있다.

170석이 넘는 거대 야당과의 협치도 이끌어야 한다. 윤 당선인이 유세 내내 ‘국민통합’을 강조하며 양식있는 민주당 정치인들과의 협치를 이루겠다고 공언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윤 당선인은 공식 선거운동 마지막 날 집권 후 여소야대 정국을 의식한 듯 “민주당이 제가 대통령이 되면 180석 가지고 정부를 제대로 운영할 수 없게 방해하거나 심지어는 저를 탄핵칠 수도 있다고 떠들고 다닌다”는 발언을 꺼낸 것도 같은 맥락이다.

내각 구성, 정책 실현 등을 위한 국회 의결이 야당의 견제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에서 통합을 이룰 리더십의 중요성이 커진 것이다. 더욱이 초박빙 판세에 여야가 선거 직전까지 서로를 향한 네거티브에 치중하며 감정적 골이 깊어진 만큼 윤 당선인은 집권 초반 야당과의 관계 설정에 공을 들일 것으로 보인다. 윤 당선인이 사전투표 직전 안 대표와 극적인 단일화를 이룬 후 대선 직후 국민의당과의 합당을 선언한 것도 여소야대 국면을 대비한 결정으로 해석된다. 윤 당선인은 “정부를 맡게 되면 안 대표의 국민의당과 신속하게 합당해서 제 자유민주주의와 법치, 시장경제를 안 대표의 과학, 미래와 결합하겠다”고 강조해왔다. 다만, 양당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얽혀있는 문제인 만큼 합당 과정에서의 잡음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된다. 신혜원 기자

hwshi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