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생명공학·바이오 제품의 생산을 미국에서 하도록 하는 행정명령을 내리면서 국내 바이오 업계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2일(현지시간)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혁신 증진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국 내 바이오 제조 생산 능력 및 공정을 늘려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확보해 생산하겠다는 계획이다.
오의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육성법, 인플레이션 감축법의 연장선으로 생명공학 분야에도 중국 견제 및 미국 내 산업 육성을 위한 조치"라고 분석했다.
미국의 원료의약품(API) 생산 국가별 비중을 보면 미국 자체 비중은 2000년 15%였지만 지난해 4%로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중국 비중은 4%에서 23%로 크게 늘었다. 중국 바이오 의약품 생산업체 우시바이오의 경우 지난해 전체 매출 가운데 북미 지역 비중이 50.8%에 달했다.
또 이번 행정명령에 연방 차원의 관련 연구개발 투자 강화를 명시해 생명공학 분야를 미국 경제 성장의 중요한 동력으로 키우겠다는 의지도 천명했다. 관건은 14일 나올 행정명령의 세부 조치다.
미국 내 생산을 이끌어내기 위한 보조금 지급, 세금 감면 같은 인센티브 제공이 중심이 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중국 등 특정 지역에서 생산·수입하는 의약품을 직접적으로 타격했다간 계약 변경에 따른 혼란에 미국 생산으로 인한 인건비 증가 등에 따른 가격 인상으로 물가 불안을 자극할 수 있다.
만에 하나 바이오 제조 생산 지역을 '미국 내'로 좁히는 강경한 내용이 담길 경우 국내 기업들은 타격이 불가피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한미약품 등 주요 바이오 의약품 업체의 생산시설은 국내에 있다. 원료의약품까지 미국에서 생산하도록 할 경우 생산·경영 전략을 대폭 수정해야 한다.
서근희 삼성증권 연구원은 "바이오의약품은 생산설비 투자 비용 외에도 인건비, 유틸리티 부담이 높은 미국에서 생산 시설을 짓고 유지하기 어렵다"면서도 "의약품 위탁 생산에 대해 미국 내 생산 시설을 이용할 경우 혜택을 주는 계획이 발표되면 중국뿐 아니라 국내 위탁 생산 업체에 부정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kwy@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