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킥라니 민원’ 전동킥보드 주차장이 해결할까…민원 감소 효과 ↑
뉴스종합| 2023-03-29 09:37
서울 서초구에 개인형 이동장치 주차장이 설치되어 있다. [서초구 제공]

[헤럴드경제=김용재 기자]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 주차공간 확보가 민원 감소와 도시 미관 개선 효과가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29일 서울시와 각 자치구에 따르면 비거치식으로 개인형 이동장치를 주차할 수 있는 ‘개인형 이동장치 주차구역’은 올해 3월 기준으로 서울 전역에 192곳이다.

구별로 보면 서초구가 50곳으로 가장 많고, 강서구가 22곳으로 뒤를 잇는다. 그 외 자치구에는 종로구·동대문구·강서구·강남구에 10곳가량의 주차구역이 마련돼 있다. 다만 이 6곳의 자치구를 제외한 19개 자치구에는 모두 10곳 미만의 주차구역만 존재한다.

대부분의 개인형 이동장치 공유 서비스가 대여·반납지점이 정해져 있지 않은 비거치식으로 운영되고 있기에 개인형 이동장치 무단 주차로 인한 문제는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의 공유 킥보드는 약 24만대로, 택시 등록 대수를 넘어섰다.

서울시가 전동킥보드 견인을 시작한 2021년 7월부터 2022년 7월까지 약 6만건의 킥보드 견인이 이뤄지기도 했으며, 지난해 동안 서울시에만 9만건 이상의 전동킥보드 무단 방치 신고가 접수됐다. 이에 킥보드와 고라니를 합쳐 ‘킥라니’라는 오명을 쓰기도 했다.

이에 지난 2021년 7월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비거치식 개인형 이동장치를 모아서 주차할 수 있는 ‘개인형 이동장치 주차구역’을 지정할 수 있도록 했지만 여전히 서울 시내에서 주차구역은 부족한 상황이다.

개인형 이동장치 주차구역 지정은 관련 민원을 점차 감소하게 만든다는 것이 현장의 설명이다. 서울 자치구 관계자는 “개인형 이동장치 주차구역을 설정한 이후 관련 민원이 감소세를 보였다”며 “개인형 이동장치를 수거해 달라는 민원도 지난해보다 줄었다”고 말했다.

시는 연내 개인형 이동장치 주차구역을 확대한다는 계획이지만 주차구역 확대를 두고 현실적 어려움에 부딪혔다. 서울시가 현재 개인형 이동장치 주차구역의 설정에 자치구 수요조사 결과와 대중교통 연계성, 설정 후의 보도폭 너비를 고려하고 있으나 공간 확보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 관련 법안인 ‘개인형 이동수단의 안전 및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에서 계류되고 있다. 해당 법률안은 개인형 이동장치 지정 주차 필요성을 밝히고 지방자치단체에 권한을 위임하고 있다.

파리, 도쿄, 뉴욕 등 해외 주요 도시에서는 비거치 방식 대신 지정 주차구역을 정해 주차를 강제하고 기업을 참여시키는 방향을 사용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전동킥보드 주차장 설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힌 상황”이라며 “조례 정비와 예산 투입을 통해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문제를 풀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brunch@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