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1분기 GDP 역성장은 면했다지만...
뉴스종합| 2023-04-25 11:11

올해 1분기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한국은행 속보치)이 전기 대비 0.3% 성장했다. 지난해 4분기 마이너스 성장했던 한국 경제가 한 분기 만에 다시 소폭 성장세로 돌아선 것이다. 1분기에도 수출과 투자 부진이 이어졌지만 민간소비가 살아나면서 성장률 반등을 이끌었다.

우리나라 분기별 GDP 성장률은 코로나 초기인 2020년 1분기(-1.3%), 2분기(-3.0%) 연속 마이너스를 보인 이후 2020년 3분기(2.3%)부터 9분기 연속 증가했다가 지난해 4분기 들어 감소했다. 1분기 수치가 예상을 웃돌면서 2분기 연속 역성장을 겨우 면했다. 연속 역성장을 막았다지만 내용을 뜯어보면 안도할 일이 아니다. 지난해 4분기 마이너스 성장에 대한 기저효과에 편승했다. 실제 올 1분기 성장에 기여한 것은 민간소비 말고는 사실상 없었다. 올 들어 마스크 의무 착용이 해제되면서 오락문화, 음식숙박 등 서비스 관련 지출이 늘어난 데 기인한다. 마스크 해제 효과로 민간소비가 단기적 반등에 성공했지만 외식서비스, 농식품류 등의 체감 물가가 두 자릿수로 치솟은 ‘고물가 고통’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소비가 성장의 보루가 될지는 회의적이다.

이보다 중시해야 할 지표는 성장을 견인하는 설비투자가 급감했다는 점이다. 반도체장비 등 기계류가 줄어 4.0%나 감소했다. 2019년 1분기(-8.3%) 이후 4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이는 반도체와 중국이라는 2대 수출 요인의 부진으로 연결돼 결국 순수출은 성장률을 0.1%포인트 끌어내렸다. 그나마 자동차의 선전으로 이 정도에 그쳤다. 수출이 7개월 연속 뒷걸음치고, 무역수지 적자가 13개월 연속 이어지는 부진이 결국 경제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다.

원/달러 환율이 24일 종가 기준 1335원에 육박하면서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올 들어 미국달러화가 주요국 통화 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유독 원화가치만 딴판이다. 우리 주력 산업인 반도체 한파와 수출 부진, 경상수지 적자, 내수 위축, 성장률 저하 등 한국 경제의 기초체력 약화가 반영된 흐름이다. IMF(국제통화기금)는 최근 한국의 연간 성장 전망치를 4회 연속 삭감한 1.5%로 제시했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 2월 성장률 전망치를 1.6%로 했지만 다음달에 하향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와 고물가·고금리 둔화로 하반기에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상저하고’론을 펴지만 지금 돌아가는 사정이 그리 우호적이지 않다. 오히려 분기별 0% 성장이 고착화될 우려가 크다. 1분기 성장률을 경고등으로 받아들이고 정부와 기업이 원팀이 돼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