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원윳값 협상 또 불발...우유가격 운명은
뉴스종합| 2023-07-26 11:33
서울 시내 한 마트에 진열된 우유들. 올해 우유 원유 가격은 L당 69~104원 범위 내에서 가격 인상 폭이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연합]

또 불발이다. 6월 9일 시작된 원유 가격 협상이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3번째 연기를 맞았다. 원윳값을 결정하는 낙농진흥회 소위원회(이하 소위)는 27일 오전 11시께 다시 협상을 연다. 당초 8월부터 인상 가격을 적용 예정이었던 업계의 시간표가 불투명해질 수 있는 상황이다.

▶우유 가격 운명은?...27일 재논의키로=26일 업계에 따르면 소위는 24일 진행된 10차 원윳값 협상에서 이견 차로 인상 폭을 정하지 못했다. 다만 7월 접어들며 협상 기한이 19일, 24일, 27일로 늘어나며 합의를 위한 속도가 나고 있는 분위기다. 낙농진흥회 관계자는 “가급적 8월 전 협상 타결을 노력하고 있다”면서 “결론은 가격에서 의견 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원윳값 협상을 기다리고 있는 유업계 입장에서는 길어지는 협상을 지켜보는 수밖에 없다. 원윳값 결정은 가격 인상의 현실적인 명분이 되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원윳값 협상 결과가 안 나오면 인상 요인이 부족하기에 선제적 인상은 어렵다”고 말했다.

협상이 장기화하면 정부의 지원이 필요할 수도 있다. 지난해 또한 원윳값이 기존 기한보다 미뤄진 11월 3일 결정되면서 농림축산식품부가 나서 그해 10월 16일부터 연말까지 ℓ당 3원을 추가 지급한 바 있다.

▶바뀐 제도...올해 최대 폭 인상돼도 과거 대비 ↓=현재 낙농가는 생산비 인상 폭을 최대한 가격에 반영하겠다는 입장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낙농가의 생산비용은 ℓ당 959원으로, 전년 대비 116원(13.7%) 올랐다. 생산비는 협상의 기준이 된다. 낙농가 입장에서는 올해 협상이 지난해보다 불리한 측면이 있다. 지난해는 생산비만 반영했던 원유가격 결정체계가 올해, 용도별 차등가격제가 시행되며 생산비와 ‘시장 상황’을 반영하도록 바뀌었기 때문이다.

생산비만 연동됐을 과거에는 생산비 증가분의 90~110%인 104원~127원이 ℓ당 인상 범위에 해당됐지만 올해는 인상 폭이 60~90%인 69원~104원을 벗어날 수 없다. 즉, 최대 인상 폭인 104원을 받아도 낙농가 입장에서는 과거 방식 기준으로는 최소 인상 폭에 해당한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는 생산비 상승으로 최근 2년 동안 300여 곳의 낙농가가 폐업했다며 낙농가의 경영 부담을 호소한 바 있다.

마시는 흰우유 기준 원윳값이 최소 6.9%에서 최대 10.4% 오르게 되면 대형마트 기준 2800원 후반대인 우유 가격은 이에 따라 3000원대가 될 전망이다.

그러나 유업계의 사정도 쉽지 않다. 장기간 지속된 고물가 국면에서 소비자의 가격 저항감이 커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원윳값 인상, 유업계 인상 명분...8월 넘을 수도=일각에서는 가격 경쟁력이 높은 멸균 우유의 성장세를 이야기하지만 국내 시장에서는 여전히 국산 흰우유의 비중이 크다. 우유자조금위원회가 진행한 ‘수입 유제품의 소비 확산에 따른 전략적 대응방안 모색’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산 냉장우유, 국산 멸균우유, 수입산 멸균우유 등의 미중은 각각 60.9%, 15.1%, 7.4%에 달했다. 국산 냉장우유를 마시는 비중은 수입산 멸균우유 대비 8.22배인 셈이다.

여기에 최근 정부가 라면업체, 제분업체 등 식품업계를 향해 물가 인하를 공개적으로 주문함에 따라 유업계는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 지난해는 원윳값이 ℓ당 49원(5.1%) 인상돼 999원으로 결정된 후 순차적으로 가격 인상 소식이 발표됐다. 이후 흰우유 점유율 1위인 서울우유협동조합은 흰우유 가격을 평균 6.6%, 매일유업은 8%, 남양유업은 평균 8.4% 올렸다. 흰우유 생산에는 농장에서 공장으로 이동하는 물류비, 보관비, 인건비 등도 영향을 끼쳐 실제로는 원윳값 인상 분보다 더 큰 폭으로 소비자가격이 인상되는 편이다. 김희량 기자

hope@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