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軍 “러, 北 위성 발사 지원 우려…고체미사일도 러 기술 유입 의심”
뉴스종합| 2023-11-21 11:26
군 관계자가 러시아가 북한의 3차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지원하고 있다며 북한의 미사일 개발과 러-북간 기술협력을 즉각 중단해야한다고 촉구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지난 15일 보도한 신형 중거리탄도미사일용 대출력 고체연료엔진 지상분출시험 모습. [평양 노동신문=뉴스1]

[헤럴드경제=오상현 기자] 군 당국이 러시아가 북한의 3차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지원하고 있다고 우려하며 북한의 미사일 개발과 러-북간 기술협력을 즉각 중단해야한다고 촉구했다.

군 관계자는 21일 북 미사일 개발 경과와 러시아 지원에 대해 설명하면서 “지난 9월 12일 러-북간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간 군사 분야 협력이 심화되고 있다”며 “회담 단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의 인공위성 개발을 돕겠다’고 언급한 것처럼 실제 북한의 3차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지원하고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러북 정상회담 이후 러시아 기술진이 북한에 들어간 정황이 있다”며 “주로 엔진계통의 기술지원을 받은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또 “북한이 이번에 발사하는 군사정찰위성은 500㎞ 고도에서 운용되는 저궤도 위성일 것”이라며 “김정은이 공개석상에서도 위성을 많이 쏘라고 말한 만큼 다수의 위성을 계속 궤도에 올리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북한이 지난 15일 ‘신형 중거리 탄도미사일 1,2단체 지상 연소시험’을 공개한 것과 관련해 “러시아의 기술 지원 가능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북한의 탄도미사일 개발 경과를 보면 소련과 러시아에서의 기술유입이 두드러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은 1960년대 구소련으로부터 단거리 로켓인 FROG 도입을 시작으로 1970년대에는 중동으로부터 소련제 SCUD-B를 도입하고 역설계를 통해 탄도미사일 기술을 향상시켰다”며 “그 결과 1980년대부터 SCUD와 노동, 무수단을 작전배치함으로써 한반도를 포함한 주변국을 직접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1991년 소련이 해체된 뒤, 다수의 소련 탄도미사일 관련 전문가들이 북한으로 넘어와 탄도미사일 개발의 핵심역할을 했다는 정황도 있다”며 “2016년 ‘무수단 시험발사 실패’를 보완하기 위해 무수단을 대체할 신형엔진을 개발할 때도 러시아의 기술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또 “러시아 기술 유입으로 2016년께 ‘백두산’엔진을 개발하게 됐고 이를 기반으로 2017년 무수단을 대체할 ‘화성-12’를 개발한 데 이어 2022년에는 ICBM ‘화성-17’까지 개발했다”고 덧붙였다.

북한의 고체엔진 탄도미사일 개발과 관련해서도 러시아의 기술이 모체가 됐다고 평가했다.

북한이 2019년부터 작전 운용상 액체 탄도미사일보다 유리한 고체 탄도미사일 개발을 본격화했는데 이 때 1990년대 후반 러시아제 고체 단거리탄도미사일 기술이 쓰였다는 분석이다.

군 관계자는 “북한은 고체 ‘전술유도탄(이스칸데르형)’을 기반으로 에이태큼스형과 고중량탄두형, 근거리형 등 다종화했고 사거리도 대폭 확장해 올해는 ICBM ‘화성-18’까지 선보였다”며 “외형과 기술적 특성이 ‘전술유도탄’은 ‘이스칸데르’를, ‘화성-18’은 러시아 ‘토플-M’과 매우 유사하다는 점에서 러시아의 기술유입이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러시아로부터의 기술유입은 러시아 과학자들의 북한 방문과 밀수, 해킹, 북한 해외대표부나 유학생들의 자료수집 등을 통해 이뤄져 온 것”으로 평가했다.

그는 “북한의 미사일 개발과 러-북간 기술협력은 유엔 안보리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라며 “한반도와 세계의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위이므로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군은 고도화되고 있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억제하고 대응하기 위해 긴밀한 한미 정보공조 하에 ‘확장억제’의 실행력을 제고하고 ‘한국형 3축체계’ 등 자체적인 대응능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legend1998@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