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
“느그 아부지 머하시노” 부모 따라 자식 연봉 차이 나는 이유[북적book적]
라이프| 2024-03-07 13:57
[123rf]

[헤럴드경제=이현정 기자]구시대적으로 여겨지는 계급 사회. 이는 정말 현대 사회에 존재하지 않는 걸까?

영국은 지난 2014년 국가 최대 고용조사인 노동력조사에서 처음으로 계급 태생에 대한 질문을 넣었다. 설문 대상자들에게 14세였을 당시 주 소득자였던 부모의 직업을 물은 것이다.

영국 사회학자 샘 프리드먼과 미국 사회학자 대니얼 로리슨이 3년 간의 설문 결과를 취합해 개인 10만8000명과 엘리트 직종 종사자 1만8000명의 대표 표본을 분석한 결과, 영국 사회는 여전히 견고한 계급 사회임이 드러났다. 특권층 출신이 노동 계급 출신보다 의료, 법률, 금융, 회계 등 엘리트 직종에 종사할 확률이 약 6.5배 높았다. 여기서 특권층이란 전문직과 경영직을 의미한다.

더 충격적인 것은 계급 간의 임금 격차였다. 엘리트 직종에 종사하는 노동 계급 출신은 동일한 업무를 하는 특권층 출신 동료보다 평균 16% 적게 벌었다. 이 가운데 임금 격차가 가장 큰 분야는 금융과 법률 분야였는데, 연봉이 무려 3000만원 가량 차이가 났다. 여기에 여성, 장애인, 인종 등 추가적인 불평등 요소가 더해지면 임금 격차는 더 벌어졌다.

프리드먼과 로리슨은 나이, 성별 등 인구통계적 요인은 물론, 출신 대학이나 재직 연수 등 모든 객관적 능력 지표를 분석해 계급 간의 임금 격차의 연관성을 찾으려고 했다. 그러나 이러한 객관적 지표는 임금 격차의 47% 밖에 설명해주지 않았다.

[사계절 제공]

프리드먼과 로리슨은 신간 ‘계급천장’을 통해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일컫는 ‘능력’은 사실 매우 모호한 개념이며, 사회는 유리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많은 직종에서 더 쉽게 획득하고 더 적합해 보이도록 구조화되어 있다고 지적한다.

저자들은 특권층이 가진 학력이나 기술, 선천적인 재능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능력이라고 여겨지는 것의 많은 부분이 특정 계급의 문화, 언어, 취향, 행동 규범 등에서 비롯된 계급화된 퍼포먼스라 지적한다. 이들은 이를 ‘계급 천장’이라고 칭한다.

저자들은 특권이 능력으로 오인되는 요소 중 하나로 ‘엄빠 찬스’를 꼽는다. 저자들은 이를 ‘엄마 아빠 은행’이라 명명한다. 부모의 재력이 자식의 커리어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 특히 방송이나 연기와 같이 불안정하거나 저임금인 분야일수록 부모의 재력이 주는 영향력은 더 커진다.

인맥이나 연줄과 같은 비공식적인 후원도 능력으로 오인된다. 여전히 많은 업계에선 ‘인재 발굴’과 같은 중립적인 용어로 포장된 비공식적인 후원이 공공연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계급 천장의 효과는 고위직으로 올라갈수록 더 강력해진다는 게 저자들의 설명이다. 엘리트 직종, 그 중에서도 임원 환경에선 ‘고상한 문화’라고 일컬어지는 예술적 취향, 지적 태도, 미적 성향 등이 울타리를 형성해 제한된 범위의 사람들에게만 문을 여는 ‘사회적 봉쇄’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다만 저자들은 계급이 가장 중요한 불평등의 축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여러 불평등 축이 함께 작용해 개인에게 이중, 삼중의 불이익을 준다고 설명한다.

저자들은 ‘유리 천장’이란 개념이 성 불평등을 공공 의제의 우선순위로 끌어올렸듯이 ‘계급 천장’이란 개념이 출신 계급에 의한 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한 지식의 축적과 정치적 행동의 디딤돌이 되길 바란다고 강조한다.

“근본적으로 이 책은 계급 태생에 따른 직업적 성공의 차이가 노동 계급 배경을 가진 사람들의 성격적 결함 때문이 아님을 입증한다. 그리고 이는 ‘능력’의 ‘자연스러운’ 차이로도 충분히 설명되지 않는다. 엘리트 직종에서 일상적으로 ‘능력’으로 분류되는 것의 상당 부분은 사실상 특권의 ‘순풍’과 분리될 수 없다.”

계급 천장/샘 프리드먼·대니얼 로리슨 지음·홍지영 옮김/사계절

rene@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