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과기정통부-외교부, AI 서울 정상회의·글로벌 포럼 준비 총력
뉴스종합| 2024-05-10 11:2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헤럴드경제=고재우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외교부는 10일 오전 서울 종로에 위치한 외교부 청사에서 ‘인공지능(AI)・디지털 분야 외교정책 협의회’ 착수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AI・디지털 분야 외교정책 협의회는 그간 추진해 왔던 양 부처 간의 협력 관계를 한 단계 격상함과 동시에 양 부처의 전문성을 융합해 AI・디지털 분야의 글로벌 이슈와 변화 양상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착수식에서 양 부처는 협력 방향과 의지를 담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국내・외 AI・디지털 분야 정책・제도 현황을, 외교부는 AI・디지털 분야 선도국과 국제기구 등 규범 제‧개정 동향을 파악해 공유하고, 양 부처가 글로벌 규범 형성에 공동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또 AI・디지털 분야의 국제행사 유치, 협의체 가입, 국제기구 선거 대응 등을 협의하고, 공적개발원조및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신규 사업 발굴・추진도 협력키로 했다. 우리 기업의 해외사업과 해외 투자가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기업들과도 협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차관급(과기정통부 제2차관 강도현 – 외교부 제2차관 강인선) 협의체도 새롭게 구성・운영한다.

아울러 착수식에서는 과기정통부 장관과 외교부 장관의 공동 주재 하에 약 10일 앞으로 다가온 AI 서울 정상회의 및 AI 글로벌 포럼의 준비 현황을 점검했다.

이달 21일과 22일 개최 예정인 AI 서울 정상회의는 정상 세션과 장관 세션으로 구성되고, 화상으로 개최되는 정상 세션에서는 AI 안전뿐만 아니라 혁신・포용성 등 AI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논의한다. 주요국 정상, 국제기구 수장은 물론 빅테크 CEO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글로벌 차원의 AI・디지털 주도권 경쟁과 거버넌스 구축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양 부처의 역량을 결집해 새로운 디지털 규범・질서가 정립될 수 있도록 주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ko@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