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마통 뚫어 공모주 청약” 다시 빚 내는 사람들…주담대·신대 둘 다 늘었다[머니뭐니]
뉴스종합| 2024-05-14 09:55
[연합]

[헤럴드경제=홍승희 기자] “가족들과 마통 뚫어 공모주 청약에 각각 300주씩 들어갔는데 총 19주 배정 받았습니다. 이런 날도 있네요”(주식투자방)

주춤했던 가계대출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신생아특례대출 등 주거 관련 정책대출뿐 아니라, 신용대출까지 잔액이 반등하며 급증세가 심상찮다. 특히 냉각됐던 자본시장이 다시 활성화되면서 기업공개(IPO) 시장 참여 등을 위한 마이너스 통장 수요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올 하반기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다시 100%를 넘기고 금융 소비자들의 이자 부담이 가중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가계대출 감소하나 했더니…4월 ‘급반등’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5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을 합친 가계대출 잔액은 645조9404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4월 말(643조7953억원) 대비 13일만에 2조1451억원 증가한 수치다. 지난 3월 말(639조490억원) 대비해서는 6조8913억원 증가했으며, 올해 들어 최고치다.

특히 주담대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5대 시중은행의 지난 달 말 기준 주담대 잔액은 540조9903억원으로 전월(536조6470억원) 대비 4조2322억원 증가했다. 이들 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지난해 12월부터 계속 증가하다가 3월 잠시 감소세로 들어섰는데, 4월 바로 반등·전환했다.

주담대 잔액 증가는 봄 이사철의 일시적 영향과 함께 최저 1%대 금리로 주택자금을 빌릴 수 있는 신생아특례대출 신청이 급증한 데 기인한다. 신생아특례대출 신청금액은 석 달 만에 5조원을 돌파했다. 일부 은행의 주담대 잔액도 이 영향을 받았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주택도시기금대출의 운용재원이 은행재원과 기금재원을 오가며 비정기적으로 변경이 되기 때문에 은행 잔액에는 신생아특례대출 잔액이 일부 포함돼있다”며 “시중은행 주담대 잔액 증가에는 정책대출의 영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신용대출도 증가하는데 금리는 그대로…영끌족 이자부담 가중되나

이번 가계대출 증가세에서 주목할 점은, 시중은행의 주담대뿐 아니라 신용대출 잔액도 동반 성장했다는 점이다. 5대 은행의 4월 말 신용대출 잔액은 102조8050억원으로, 전월(103조3021억원) 대비 4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13일 기준 신용대출 잔액은 102조9891억원으로 13일만에 1841억원 늘었다.

신용대출 잔액은 그간 장기화되는 고금리로 인해 계속 감소세를 유지해왔다. 지난해 12월 5대 은행 신용대출 잔액은 106조4851억원이었지만 ▷1월 105조4611억원 ▷2월 103조6851억원 ▷3월 102조4021억원으로 쭉 감소했다. 그러다 4월 다시 반등세를 보인 것이다.

8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HD현대마린솔루션(주) 코스피 상장기념식에서 관계자들이 현재가 확인 후 기념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채남기 한국IR협의회 회장, 이경인 UBS증권 부회장, 박태진 JP모건증권 한국 회장, 양태영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장, 정기선 HD현대 부회장,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 이기동 HD현대마린솔루션 대표이사, 김성현 KB증권 대표이사, 강성묵 하나증권 대표이사, 김상태 신한투자증권 대표이사, 이기헌 상장회사협의회 상근부회장. [연합]

업계는 공모주 청약 등의 영향으로 마이너스통장 등을 동반한 ‘머니무브’가 있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이달 초 IPO 시장의 최대어로 불렸던 HD현대마린솔루션은 상장 전부터 투자자의 주목을 받으며 청약에 약 25조원의 증거금이 모였다. 상장 첫날에도 주가가 공모가 대비 97%나 상승하는 등 추가 투자가 이어졌다.

가계대출 증가세가 꿈틀하자 하반기 가계대출이 더 급증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올 1분기 한국의 명목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3년여 만에 100% 이하로 떨어졌는데, 다시 오를 가능성도 제기된다.

무엇보다 고금리가 보다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이른바 ‘영끌족’들의 이자부담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사실상 이른 시일 내에 금리 인하로 선회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점을 시사하며 당분간 현 금리 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전날 ‘4월중 가계대출 동향’을 발표한 금융당국은 “IPO 청약으로 인한 기타대출 증가 등 일시적 요인이 4월 가계대출 증가규모에 일부 영향을 줬지만 디딤돌·버팀목 등 정책성 자금과 함께 은행권 자체 주담대 증가도 원인으로 작용했다”며 “금리하락에 대한 기대감 지속, 주택시장 회복 가능성 등으로 인해 향후 가계대출 증가세의 확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가계부채가 GDP 성장률 내로 관리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hss@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