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개발·생태계 구축에 8년간 4840억원 투입
뉴스종합| 2024-05-23 11:00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2일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신규 생산라인 투자가 완료된 LG디스플레이 파주공장을 방문해 ' IT용 OLED 신규 생산라인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정부가 미래 디스플레이로 주목받는 무기발광디스플레이(iLED) 기술개발과 생태계 구축사업에 내년부터 8년간 4840억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빛을 내는 소자인 화소부터 패널·모듈까지 공정 전주기에 걸쳐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핵심기술 확보와 주요 소재·부품·장비 자립화에 나선다는 목표다.

무기발광 디스플레이는 고휘도, 장수명, 고신뢰성 특성을 갖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이후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및 생태계 구축 사업’이 23일 열린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총사업비 4840억원 규모로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무기발광 디스플레이는 발광다이오드(LED) 등 무기물 기반 소자를 발광원으로 사용하는 자발광 디스플레이로 0.3인치 초소형부터 300인치 제품까지 적용 가능하다. 이에 중국, 대만 등 주요 경쟁국은 LED 산업 기반을 바탕으로 마이크로 LED 상용화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LED 칩 등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상황으로 관련 기술 확보를 위한 정부 지원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산업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화소부터 패널, 모듈까지 공정 전(全) 주기에 걸쳐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핵심기술 선점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초소형·고효율 화소 기술 ▷고속 패널 형성 기술· ▷300인치 이상의 초대형 모듈러 기술 등 3대 초격차 기술 확보와 함께 칩 제조용 소재, 전사·접합·검사 장비 등 핵심 소재·장비의 자립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충남 아산에 대규모 실증 인프라인 스마트모듈러센터를 조성하여 소부장 기업의 기술 검증과 상용화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은 지난해 8월부터 9개월 연속으로 수출 플러스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디스플레이 수출 목표치인 198억달러로 정부는 지난 2월 OLED 초격차 유지를 위해 OLED의 핵심 소부장 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추가 지정해 세제 혜택을 높인 바 있다. OLED 분야 세계 최고 기술 확보와 핵심 소부장 품목의 자립화 등을 위해 디스플레이 R&D에 올해 약 1910억원을 투입한다.

무기발광 분야에는 올해 202억원을 투자해 기술개발에 착수하고, 현재 진행 중인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예비타당성 조사를 올해 중 마무리할 방침이다. 올해 신설 예정인 디스플레이 특성화대학원 등을 통해 오는 2032년까지 9000명의 인력 양성도 추진한다.

산업부 관계자는“이번 사업은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이 OLED에 이어 무기발광 디스플레이에서도 세계 1위를 차지하기 위한 초석이 될 것”이라며 “연구개발(R&D) 외에도 투자세액공제 확대, 전문인력 양성 등 산업 육성에 필요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oskymoon@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