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2031년 발사 목표”… ‘천리안위성 5호’ 개발 사업 예타 통과
뉴스종합| 2024-05-23 11:29
천리안위성 5호 비행 상상도[기상청 제공]

[헤럴드경제=이용경 기자] 기상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으로 기획한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천리안위성 5호) 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예타) 조사를 통과했다.

23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개발기간 7년(2025년~2031년), 총 사업비 약 6008억원 규모로 오는 2031년 발사를 목표로 추진될 예정이다.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천리안위성 5호)은 천리안위성 1호와 천리안위성 2에이(A)호에 이은 국내 3번째 기상위성이다. 오는 2031년 발사돼 적도 상공 약 3만6000㎞ 고도에서 24시간 실시간으로 기상·우주기상을 관측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차세대 기상위성으로 활약할 전망이다.

최근 지구·우주의 기상환경 변화로 인한 재난재해 위험이 커지는 가운데 정지궤도 기상위성은 실시간 위험기상 탐지·예측에 최적화된 자산으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기상청과 과기정통부가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 개발 사업을 공동으로 기획했다. 향후 다부처 협업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이번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최초로 정지궤도 위성을 산업체가 주관해 개발하게 됐다. 주관연구개발기업은 참여 연구기관과 함께 위성 체계종합·위성 본체 개발 전 과정을 주관한다. 기상청은 이를 통해 국내 산업체의 고성능 정지궤도 위성 개발 역량을 향상, 민간 주도의 우주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천리안위성 5호 개발 사업은 ▷시스템 및 본체 ▷기상탑재체 ▷우주기상탑재체 분야 과제로 구성된다. 위성의 시스템과 본체는 국내 정지궤도 위성개발로 확보된 공공 기술을 민간으로 이전해 개발 완성도와 국산화율을 높일 예정이다.

기상탑재체는 빈번해지고 있는 위험기상 현상의 감시·예측을 강화하기 위해 현재 16개 파장대역(중심파장, 채널)에서 18개 파장대역으로 늘리고, 일부 파장대역들의 공간해상도를 4배로 높여 점점 심화되고 있는 국지성 기상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개발할 방침이다.

또한 우주기상탑재체에는 우주환경과 극항로 방사선 예경보에 최적화된 고에너지 양성자 및 전자 측정기, 위성대전감시기, 자력계가 포함될 예정이다.

기상청은 “과기정통부와 협업을 통해 향후 사업 추진계획을 구체화하고, 사업 예산확보를 추진하는 등 사업 착수에 차질이 없도록 면밀히 준비하겠다”고 했다.

yklee@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