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일반
코너몰린 우크라軍, ‘울면서’ 퇴각중…러軍 비밀병기 정체는 ‘살충제’?
뉴스종합| 2024-05-23 18:31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연합]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연합]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지 확대에 '독가스 살포' 작전이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동부 전선에선 클로로피크린을 비롯한 가스 공격의 빈도가 부쩍 늘고 있다.

러시아군의 독가스 살포는 공습, 병력 침투와 함께 진군의 한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우선 항공기가 활공 폭탄을 떨어뜨려 우크라이나 진지를 훼손시킨다. 이어 드론이 가스를 살포하는 수류탄을 투하하는 식이다.

클로로피크린에 노출되면 피부가 화상을 입는다. 눈물을 계속 흘리며, 가스가 폐에 닿으면 호흡 곤란도 올 수 있다.

특히나 이 가스는 공기보다 무겁기에 아래로 가라앉으며 참호 구석구석 퍼질 수 있다고 한다.

우크라이나 병력들이 참호 속에서 벗어나 무기력해지면 완전 무장을 한 러시아군이 진격하기 시작한다.

방독면이 없으면 숨조차 쉬기 힘든 무방비 상태가 되며, 방독면이 있다한들 조준 사격이 어려워진다.

우크라이나로서는 이 때문에 최전선에서 조금씩 후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화학 무기 사용은 러시아가 봄철 대공세를 통해 점령지 확대를 시작한 일과 맞물려 더 자주 목격되고 있다.

지난해 2월부터 지금껏 우크라이나가 집계한 러시아의 화학무기 사용 사례는 1891회다.

러시아가 동부에서 침공 속도를 높이기 시작한 지난 3월에 373건, 4월에 444건 등이다.

우크라이나 육군의 드미트로 세르히옌코는 "러시아군의 독성 화학물질 사용은 우리에게 이제 일상의 현실"이라고 했다.

클로로피크린은 1차 세계대전에서 무기로 쓰인 적이 있다. 현재는 살충제로도 쓰인다.

한편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조금씩 점령지를 늘려가고 있는 모습이다.

러시아 국방부는 지난해 여름 우크라이나가 탈환했던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의 요충지 클리시이우카를 다시 장악했다고 22일 주장했다.

이 마을은 지난해 1월 러시아군에 점령됐다가 그해 9월 우크라이나에 수복됐다. 우크라이나가 지난해 '봄철 대반격' 때 탈환한 몇 안 되는 마을이다.

우크라이나는 즉각적인 반응을 내놓지 않았지만, 전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전황이 매우 힘들다고 언급한 바 있다.

yul@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