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한국판 NASA ‘우주항공청’ 출범…뉴스페이스시대 ‘우주강국’ 이끈다
뉴스종합| 2024-05-27 08:43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 임시청사 전경.[과기정통부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2045년 세계 5대 우주강국 도약의 시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우주개발 컨트롤타워 ‘우주항공청’이 경남 사천에서 27일 공식 출범했다. 지난해 4월 정부가 특별법을 발의한 지 약 13개월, 올해 1월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지 약 4개월 만이다.

우주항공청은 그간 흩어졌던 우주항공 분야 연구개발(R&D) 기능과 산업, 인재 육성을 맡게된다.

우주항공청 총 정원은 293명이다. 정부가 새로 채용하거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 관련 부처에서 옮겨온 우주항공 분야 인재 110명으로 먼저 출발한다. 7국 27과 2소속기관에 인력들이 배치된다. 개청 초기 인력 외 나머지 인력 충원 절차를 올해 중 마무리할 예정이다.

우주항공청 초대 청장(차관급)은 윤영빈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가 맡았다. 1급인 우주항공임무본부장은 존 리 전 미국항공우주국(NASA) 본부장, 차장에는 노경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이 기용됐다.

윤영빈 청장은 “우주항공청은 단순한 정부 조직 신설이 아닌 미래의 성장동력을 우주에서 찾고자하는 담대한 도전이라 생각한다”면서 “우주항공청은 기존 정부주도 사업 방식에서 벗어나 민간과의 역할 분담을 재정립하여 궁극적으로 민간이 상용 우주개발을 주도하고 출연연과 대학은 고위험, 장기 미래우주 개발 사업에 집중하는 형태가 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 임시청사 전경.[과기정통부 제공]

우주항공청은 임시청사 건물을 임차했다. 경남 사천 사남면에 있는 아론비행선박산업을 최소 2년 동안 사용하게 된다. 전체 9개 층, 5280㎡ 중 8개 층, 4860㎡을 우주항공청 사무실로 활용하게 된다.

정부는 우주항공청 직원들의 안정적인 정착 지원을 위해 주거, 교통, 조기정착 등 정주여건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 본청 직원 대다수가 입주 가능한 국민임대주택을 확보해 전세보증금은 정부가 지원한다. 가족과 함께 사천을 포함한 경남으로 이주하는 우주항공청 직원에게 가족 1먕당 200만원씩 정착지원금을 지급한다. 또 직원 대상 이주지원비를 2년간 월 20만원을 지급하고 이사비용도 실비를 지원한다. 청사와 숙소, 청사와 세종 및 서울 간 통근버스를 운행하고 업무용 택시 이용 지원 등도 추진된다.

다만 아직까지 정주여건 개선이 부족해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크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지난해 5월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우주항공청은 개청과 함께 곧바로 우리나라의 우주항공 임무를 주관하게 된다. 정부는 올해 주요 임무로 우주탐사, 우주수송, 우주산업, 우주안보, 우주과학 등 5대 임무를 설정하고 예산 9923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기존에 과기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맡아오던 관련 업무들을 우주청이 전담한다.

2032년 달 착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달 탐사 2단계 사업(달 착륙선 개발)에 착수, 상용 발사 서비스 시장 진입을 위해 차세대 발사체 100톤급 다단연소사이클 엔진·설계·개발을 본격 추진한다. 2025년 누리호 4차 발사를 위한 체계 총조립도 올해 진행되며, 민간 발사체의 발사 지원을 위한 나로우주센터 내 국내 최초 민간 소형 발사체 발사장 구축도 시작된다.

정부는 우주항공청을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가 경제를 이끌 혁신 우주항공 기업 2000개 이상 육성 ▷약 50만 개에 달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 ▷정부의 우주항공 산업 투자 규모를 대폭 확대함으로써 세계 시장 10% 점유(420조원 규모) 달성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2045년 우리나라가 세계 5대 우주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장관은 “우주항공청을 통해 국민과 함께 꿈과 희망을 키워나가고, 산학연과 함께 경쟁력을 높여 나가며, 세계와 함께 새로운 미래를 개척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nbgkoo@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