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北, 6월4일 이전 정찰위성 발사 예고…한일중 정상회의 와중 러 기술 지원
뉴스종합| 2024-05-27 09:01
일본은 북한이 27일부터 내달 4일 사이 인공위성을 실은 발사체를 발사하겠다며 그에 따른 해상 위험구역 3곳을 설정하겠다는 계획을 통보해왔다고 밝혔다. 북한이 지난해 11월 발사해 궤도에 올린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탑재한 로켓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이 한일중 정상회의가 열리는 27일부터 내달 4일까지 정찰위성을 발사하겠다고 예고했다.

일본은 북한이 27일부터 내달 4일 사이 인공위성을 실은 발사체를 발사하겠다며 그에 따른 해상 위험구역 3곳을 설정하겠다는 계획을 통보해왔다고 밝혔다.

국제해사기구(IMO)는 회원국의 항행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사격훈련과 해상훈련 등 긴급사항을 알리도록 의무를 부과하고 있는데 일본은 북한이 속한 지역별 조정국이다.

북한은 지난해 11월에도 인공위성 발사 계획을 밝히면서 일본에 관련 내용을 통보한 바 있다.

북한은 ‘우주의 평화적 이용권’을 부각시키는 차원에서 인공위성 발사 계획을 사전통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 항공국은 북한의 1단 발사체의 경우 전북 군산에서 멀리 떨어진 한반도 서해 해상, 2단 발사체는 제주도 서쪽 먼 해상, 3단 발사체는 필리핀 루손 동방 해상 등 낙하 예상 지점 좌표를 공개했다.

일본 해상보안청도 이날 0시부터 내달 4일 0시까지 3개 해역에 항행경보를 내리고 낙하물 주의를 당부했다.

한미일은 북한의 통보 직후 전화 협의를 갖고 북한의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라며 중단을 요구했다.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예고가 27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일중 정상회의 직전 이뤄졌다는 점도 주목된다.

북한이 지난해 세 차례 정찰위성 발사를 시도할 때마다 사전통보한 기간 중 가장 빠른 시기를 선택해온 만큼 한일중 정상회의 당일 발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일중 정상회의를 넘긴다면 국제사회의 이목을 끌기 위해 오는 31일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는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 등을 계기로 삼을 수도 있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전날 윤석열 대통령과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의 한중회담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의 한일정상회담 뒤 “오늘 충분히 대화하지 못한 안보현안은 계속 대화를 이어갈 것”이라며 “특히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을 활용한 북한의 위성 발사가 임박한 가운데 정부는 안보대비태세를 확고하게 챙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북한 핵·미사일 위협이 어떤 식으로든 다뤄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북한 정찰위성 발사에 러시아가 관여한 것으로 파악됐다는 점도 의미심장한 대목이다.

정부는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를 지원하기 위해 러시아 기술진이 대거 방북했고, 북한이 이들의 엄격한 검증 기준을 맞추기 위해 엔진연소 시험을 예상보다 많이 실시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한반도·동북아정세와 관련 한미일 대 북중러 대립 구도가 형성된 가운데 한일중 정상회의가 열리는 시점을 노려 북러 밀월을 과시함으로써 중국을 향해 모종의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북한은 지난해 11월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발사해 궤도에 올려놓은데 이어 연말 노동당 전원회의를 통해 올해 중 추가로 3기의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하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shindw@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