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청와대
일본과 수소협력...라인사태도 “관리” 당부
뉴스종합| 2024-05-27 11:12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를 계기로 26일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양 정상은 한일 수소협력 대화를 신설하기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라인야후 사태를 먼저 언급하고 관리를 당부했다.

윤 대통령과 1년 만에 방한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50분간 진행된 정상회담에서 한일 수소협력대화 및 우리측 산업통상자원부와 일본 경산성 간 한일 자원협력대화를 다음 달 중순 출범하기로 했다. 지난해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가 스탠퍼드대 좌담회에서 논의했던 협력 사업의 후속 조치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한일 간 글로벌 수소 공급망 확대를 꾀할 수 있게 됐다”며 “수소와 관련된 표준, 수소 에너지와 관련된 규격, 정책 분야에서 협력을 모색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양국 간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4월 결성된 글로벌 펀드와 우리측 중소벤처기업부-일본 경산성 간 국장급 중소벤처정책대화도 활성화하기로 했다. 한일 ICT 정책포럼을 비롯해 향후 양자, 우주 바이오 등 첨단기술 분야로 양국 간 협력의 외연을 대폭 넓히기로 했다.

기시다 총리는 “후지필름이나 삼성 등 투자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고, 앞으로도 투자를 확대해 양국 기업 간 첨단산업 분야의 협력이 가속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고 박춘섭 경제수석이 전했다.

윤 대통령은 라인야후 문제를 회담 의제로 꺼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기시다 총리에게 “일본 총무성의 행정지도가 국내 기업인 네이버에 지분을 매각하라는 요구는 아닌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그런 측면에서 우리 정부는 이 현안을 한일 외교관계와 별개의 사안으로 인식을 하고 있고, 따라서 앞으로 양국 간에 불필요한 현안이 되지 않도록 잘 관리해 나갈 필요가 있겠다”고 밝혔다.

이에 기시다 총리는 “일본 총무성의 행정지도는 한국 기업을 포함해서 외국 기업의 일본에 대한 투자를 계속 촉진하겠다는 기존의 입장에 불면이 없다는 원칙 하에서 이해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일본 총무성의 행정지도는 이미 발생한 중대한 보안 유출 사건에 대해서 어디까지나 보안 거버넌스를 재검토해 보라는 요구 사항이지, 한일 양 정부 간에 초기 단계부터 이 문제를 잘 소통하면서 협력을 해왔고, 또 앞으로도 계속 긴밀히 소통해 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6월 출범한 한일 및 일한 미래 파트너십 재단에 일본 측이 2억엔을 추가로 모금한 것에 대해 평가했다. 앞서 한국에서 10억원, 일본에서 1억엔 규모의 자금을 출자한 바 있다. 김 차장은 “한국경제인협회측에서도 재단의 기금을 확충하고 양국의 청년 미래세대가 보다 활발하게 교류할 수 있도록 촉진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북한 문제와 관련해 양 정상은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제재를 노골적으로 위반하는 가운데, 대화를 거부하며 핵무력 강화에 몰두하고 있다는 데 우려를 공유하고 한일·한미일 간 공조를 지속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최은지 기자

silverpaper@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