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2021년 이후 물가 12.8% 폭등…민간소비 5%P 줄였다
뉴스종합| 2024-05-27 13:22

서울 명동 거리 [연합]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소비자물가가 2021년 이후 13% 가깝게 뛰어 지갑이 닫혔다는 분석이 나왔다. 물가 상승에 따른 민간 소비 증가율 감소폭은 5%포인트 가량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령·청년층과 저소득층의 소비가 고물가에 큰 타격을 받았다.

한국은행이 27일 공개한 '고물가와 소비:가계 소비 바스켓·금융자산에 따른 이질적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4월까지 소비자물가 누적·연 환산 상승률은 각 12.8%, 3.8%를 기록했다. 2010년대(연 환산 1.4%)의 두 배 이상이다.

민간 소비의 경우 2015∼2019년 추세를 크게 밑돌고 있다. 2021년부터 가파르게 오른 물가가 얼마나 소비를 위축시켰는지 정량적으로 분석하니 2021∼2022년 실질 구매력 축소가 약 4%포인트, 금융자산 실질 가치 훼손이 약 1%포인트씩 소비증가율을 낮췄다.

이 기간 누적 기준 소비 증가율(9.4%)을 고려할 때 물가 급등이 없었다면 소비가 14% 이상(9.4%+5%포인트) 늘 수도 있었다는 뜻이다.

2020∼2023년 고령층과 저소득층이 체감하는 실효 물가 상승률이 각 16%, 15.5%로 청·장년층(14.3%)과 고소득층(14.2%)보다 높았다. 물가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식료품 등 필수재의 소비 비중이 두 그룹에서 컸기 때문이다.

더구나 고령층의 경우 대체로 부채보다 금융자산을 많이 보유한 계층인 만큼, 물가 상승에 따른 자산 가치 하락 경로로도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

생애 주기상 부채가 많은 청년층에도 도움이 되지 않았다. 젊은 세대 가운데 전세 거주자가 많은데, 이들의 전세보증금 실질 가치도 하락한 탓이다.

정동재 한은 거시분석팀 과장은 "고물가는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취약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하는 부정적 재분배 효과도 있는 만큼 물가 안정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th5@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