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반
‘모더니스트’ 원로시인 김광림 별세…향년 95세
라이프| 2024-06-10 08:14
[뉴시스 제공]

[헤럴드경제=신소연 기자]"꽃은 꺾인 대로 화병에 담아 채우면 / 금시 향기로워 오는 / 목숨인데 / 사람은 한번 꺾어지면 / 그만 아닌가 (중략) 사람도 그만 향기로울 데만 있으면 / 담아질, 꺾이어도 좋은 / 꽃이 아닌가"(시 '꽃의 반항' 중)

한국 현대시의 모더니즘을 이끈 문단의 원로 김광림(본명 김충남) 시인이 지난 9일 별세했다. 향년 95세.

1929년 함경남도 원산에서 태어난 고인은 1948년 단신으로 월남, 그해 '연합신문'을 통해 시 '문풍지'로 등단했다. 이후 한국전쟁에 육군 소위로 참전하기도 한 고인은 1959년 첫 시집 '상심하는 접목'을 펴냈다. 1961년에는 김종삼, 김요섭 시인 등과 함께 문예지 '현대시'의 창간 동인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고려대 국문과를 졸업한 고인은 문화공보부, KBS, 한국외환은행 등에 잠시 재직한 뒤 장안대 교수로 있다 1996년 퇴직했다. 1992~1994년에는 제28대 한국시인협회장을 지냈다.

김광림은 서구 모더니즘을 바탕으로 이미지를 통한 명징한 시 세계를 추구한 시인으로 꼽힌다. 정지용, 김기림에서 시작해 김광섭, 박남수 등을 거치며 형성된 한국시의 주지주의적 흐름을 잇는 모더니스트 시인으로 평가된다.

고인은 화가 이중섭(1916~1956)과의 인연도 널리 알려져 있다.

해방 직후 1947년 원산에서 이중섭을 처음 만난 고인은 이중섭이 작고한 1956년까지 인연을 맺었다. 장교 복무시절 이중섭의 요청에 따라 외출을 나올 때마다 보급품 박스 속에 있던 양담배 은박지를 수집해 그림의 재료로 전해줬던 장본인이다.

생전에 이중섭은 극도의 자기혐오 속에서 자신의 그림들을 불살라 달라고 고인에게 부탁했지만, 김광림은 당시 이중섭의 그림들을 잘 보관했다가 돌려줬다. 이런 사정은 알려지지 않다가 고인이 지난 2006년 펴낸 책 ‘진짜와 가짜의 틈새에서-화가 이중섭 생각’을 통해 세상에 알려졌다.

한편 고인은 1980년대부터는 한국시의 국제화를 위해 한·중·일 시단 교류에 앞장섰다. 시집 '오전의 투망', '천상의 꽃', '앓는 사내' 등 다수와 평론집 '존재에의 향수, '아이러니의 시학', '일본현대시인론' 등을 펴냈다. 한국시인협회상, 대한민국문학상, 대한민국 보관문화훈장, 일·한 문화교류기금상, 청마문학상 등을 받았다.

유족으로 아들 김상수(바움커뮤니케이션 회장)·김상일(조각가)·김상호(대만 과기대 학장 겸 대만 현대시인협회장) 씨, 딸 김상미 씨 등이 있으며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2호실에 차려졌다. 발인은 11일 오전 10시다.

carrier@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