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반
"이정재社, 기망적 방법으로 경영권 뺏었다" '재벌집 막내아들' 제작사 대표의 반박
라이프| 2024-06-10 13:38

배우 정우성(왼쪽)과 이정재 [아티스트컴퍼니 인스타그램]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배우 이정재가 최대주주이고, 정우성도 사내이사로 있는 회사 아티스트유나이티드(옛 와이더플래닛)가 올해 인수한 드라마 제작사 래몽래인의 김동래 대표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가운데, 김 대표는 "기망적인 방법으로 경영권을 편취당했다"고 반박했다.

김 대표는 10일 입장문을 통해 "아티스트유나이티드가 투자 전 논의했던 것과 달리 래몽래인의 자금을 이용해 거래정지 상태인 엔터테인먼트 상장사를 인수하기 위한 작업을 하게 됐다는 얘기를 듣게 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저를 포함한 현 래몽래인 경영진은 회사의 본업에서 벗어나는 상장사 인수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아티스트유나이티드에) 전달했다"며 "이후 저희에게 돌아온 대답은 대표이사와 사명 변경, 이사회 전원 사임과 교체, 정관 변경 건으로 임시주총을 열라는 일방적 통보였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1대 주주가 된 지 불과 3개월도 지나지 않은 상태에서 이 같은 투자자들의 움직임은 래몽래인의 현금자산을 이용해 다른 기업 인수를 위한 껍데기로 쓰겠다는 뜻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래몽래인을 기망적 방법으로 경영권을 편취하는 세력의 희생양이 되게 할 수는 없다. 대표이사이자 이사회 의장으로서 저는 주주 이익에 반하는 경영권 편취 행위에 동조할 수 없기에 이사회 등을 통해 견제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특히 "이정재 배우의 네트워크와 자본력으로 래몽래인이 글로벌 진출을 꿈꿀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아티스트유나이티드와 손잡았다"며 "이정재 배우는 지금껏 단 한 번도 회사를 방문하지 않았고 경영에 관한 어떤 비전도 제시한 바 없다"고 지적했다.

래몽래인은 2007년 설립된 드라마 제작사로 '성균관 스캔들'(2010), '재벌집 막내아들'(2022) 제작에 참여했으며 2021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아티스트유나이티드는 올해 3월 유상증자를 통해 래몽래인을 인수했으며, 래몽래인과의 경영권 분쟁 끝에 지난 5일 법원에 임시 주주총회 소집 허가를 신청하고 김동래 대표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냈다고 밝힌 바 있다.

아티스트유나이티드 측은 "아티스트유나이티드의 사내이사인 이정재와 정우성이 래몽래인 경영에 참여하는 방안을 논의했으나 김 대표가 요구에 응하지 않고 임시 주주총회 개최 요청도 무시해 소송을 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2개월간 김 대표와 수차례 협의하며 상황의 원만한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나 김 대표가 신의를 저버리고 갈등을 키웠다"며 "주주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부득이하게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올해 1분기 말을 기준 래몽래인 최대주주는 18.44%를 보유한 아티스트유나이티드이고, 이정재 역시 5.12%를 보유해 둘의 지분율을 합치면 총 23.56%에 달한다. 김 대표의 지분은 13.41%, 래몽래인 윤희경 이사의 지분은 0.51%다.

콘텐츠 제작사 위지윅스튜디오와 이 회사 박인규 대표가 각각 래몽래인 지분 10%와 5.12%를 보유하고 있어 경영권 다툼에서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paq@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