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쭉 잡아당겨도 화질 그대로” KAIST, 신축 OLED 개발
뉴스종합| 2024-06-11 11:10

평면에 국한됐던 디스플레이 기술이 곡면형 모니터나 폴더블 휴대폰 화면처럼 다양한 형태로 진화되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쭉 잡아당겨도 동작 가능한 신축형 디스플레이 핵심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KAIST는 유승협(사진)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문한얼 동아대 반도체학과 교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실감소자 연구본부 연구팀과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의 높은 발광면적비를 가지며 신축 시에도 해상도가 거의 줄지 않는 신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를 구현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유연성이 매우 뛰어난 초박막 OLED를 개발해 이의 일부 발광 면적을 인접한 두 고립 영역 사이로 숨겨 넣는 방법으로, 신축성과 높은 발광 밀도를 동시에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숨겨진 발광 영역은 신축 시 그 모습을 점차 드러내며 발광 면적비의 감소를 보상하는 메커니즘을 가능케 했다.

기존 신축형 디스플레이는 고정된 단단한 발광 부분을 이용하여 성능을 확보하면서, 굽혀진 모양의 연결부를 통해 신축성을 확보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 경우 빛을 내지 않는 굽힘 모양 연결부로 인해, 전체 면적에서 발광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은 한계점이 있다. 특히 신축 시에는 늘어난 굽힘 모양 연결부가 차지하는 면적이 더욱 커지면서 발광면적 비율이 한층 더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제안된 구조체를 통해 신축 전 발광면적비가 100%에 근접하는 최고 수준을 달성했으며, 30%의 시스템 신축 후 발광면적비 또한 단지 10% 감소하는 플랫폼을 구현했다. 이는 같은 변형 하에서 기존 플랫폼이 60% 수준의 높은 발광면적비 감소를 보이는 것과 대조적인 결과다. 또한 이 플랫폼은 반복 동작 및 다양한 외력 하에서도, 강건하게 동작하는 기계적 안정성을 보였다.

연구팀은 구형 물체, 실린더, 인체 부위와 같은 곡면에서 안정적으로 동작, 풍선의 팽창이나 관절의 움직임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자유곡면에 부착할 수 있는 광원에 대한 응용성을 확인했다.

유 교수는 “미래에는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더욱 다양해지면서 궁극적으로 늘려도 동작하는 신축형 디스플레이 기술로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우수한 성능과 안정성이 확보된 OLED 기술을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기존 신축형 디스플레이의 난제를 극복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으로서, 신축형 디스플레이의 제품화를 더욱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5일자에 게재됐다. 구본혁 기자

nbgkoo@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