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10년 묵은 규제에…백종원 빵연구소도 대상? [언박싱]
뉴스종합| 2024-06-11 13:47
[헤럴드경제 DB]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대기업 프랜차이즈와 골목빵집의 ‘상생협약’ 연장을 위한 논의가 이달부터 시작된다.

동반성장위원회 관계자는 11일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늦어도 이달 중 베이커리 업계와 논의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기업 프랜차이즈와 대한제과협회는 협약 연장이라는 큰 틀에서는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기업 프랜차이즈와 대한제과협회가 2019년 8월 맺은 상생협약은 오는 8월 6일 만료된다. 상생협약에 따르면 대기업 프랜차이즈는 동네 빵집 반경 500m 이내에서 매장을 열 수가 없다. 신설 점포는 전년 대비 2% 이내에서만 가능하다. 상생협약을 맺고 있는 기업은 SPC파리크라상, CJ푸드빌, 롯데제과, 에이블현대호텔앤리조트, 이랜드이츠, 대우산업개발, 하나호텔앤리조트 등이다. 이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 내에서 운영하는 베이커리도 포함된다.

빵집은 2013년 중소기업적합업종 지정되며 출점을 희망하는 대기업 프랜차이즈가 규제를 받았다. 하지만 2019년 8월 빵집이 중소기업적합업종에서 제외되면서 ‘자율 협약’인 상생협약이 이를 대체했다. 대기업 출점 제한 규제는 올해로 사실상 10년이 됐다.

대기업 프랜차이즈와 골목 빵집 간 상생협약은 효과를 봤다. 국세청 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 전국 제과점 사업자는 2만2648명으로, 2020년(1만7249명) 대비 31.3% 늘었다. 대한제과협회 관계자는 “대만 등 외국의 경우 제과 산업이 양산형 산업으로 넘어갔지만 상생협약 덕분에 자영업자들이 버틸 수 있었다”고 말했다.

문제는 시장 환경이 크게 바뀌었다는 것이다. 대기업 프랜차이즈 관계자는 “대형 프렌차이즈만 규제 대상에 포함되고, 같은 품질의 빵을 파는 편의점이나 커피전문점은 규제 대상에서 빠져 있다. 역차별을 받는 상황”며 “상생협약 논의는 변화된 시장 환경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상생협약은 매장내 제조시설을 갖춘 소규모 빵집만 대상이 된다.

코로나19 등을 거치면서 온라인을 통해 빵을 구매하는 사람이 늘었고, 편의점 등도 자체 브랜드 빵을 팔기 시작했다. GS25는 2021년 자체 브랜드인 브레디크를 출시했다. CU도 지난해 자체베이커리 브랜드 베이크하우스405를 출시했다. ‘양산 빵’의 품질은 제조 시설을 갖춘 동네 빵집을 품질을 따라 잡았다. 두 편의점의 베이커리 매출은 매년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케이크와 베이글 등을 전면에 내세운 커피전문점도 등장했다. 골목 빵집을 위협하는 곳이 대기업 프랜차이즈 뿐만 아니라 편의점, 커피전문점 등으로 확대된 것이다.

새롭게 성장한 베이커리가 상생협약 대상에 포함될지도 쟁점 중 하나다. 백종원 대표가 있는 더본코리아의 빽다방 빵연구소(Baik's bakery) 등이 대표적이다. 빽다방 빵연구소는 전국에 18곳을 운영하는 베이커리 카페 브랜드다. 동반성장위 관계자는 “중견기업 규모 이상의 제과점은 상생 협력 대상이 될 수 있다”면서 빵연구소의 포함여부에 대해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cook@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