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반
“기업 이사들 주주 소송에 시달릴 것” 상법 개정 움직임에 재계 충격 [비즈360]
뉴스종합| 2024-06-11 18:17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이 지난 3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업 밸류업을 위한 세제 개선 방안 모색 토론회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현일·정윤희·한영대·김민지 기자] 기업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회사’에서 ‘주주’로 확대하는 상법 개정 움직임을 두고 재계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단기이익을 우선시하는 주주들에 충실할 경우 기업의 장기적인 투자 집행이 어려워져 사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이란 지적이다. 충실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사를 겨냥한 주주들의 소송이 남발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11일 국회와 재계에 따르면 22대 국회 개원 이후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에 ‘주주의 비례적 이익’을 추가하는 내용의 상법 개정안이 지난 5일 발의됐다. 주주가치가 훼손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이사에게 주주 보호의무를 추가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상법 개정 여론은 지난 2020년 LG화학이 물적분할로 신설한 LG에너지솔루션을 상장하면서 대두됐다. 당시 LG화학 주가 하락으로 기존 주주들의 불만이 높아지자 소수주주 보호 차원에서 이사 충실의무 확대방안이 거론됐다. 이사의 의무를 명확하게 규정해 일반 주주들의 이익을 보호하겠다는 취지다.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로 확대하는 상법 개정안은 지난 21대 국회에서도 발의됐으나 임기만료로 폐기된 바 있다. 그러나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기업 밸류업 정책의 일환으로 이사 충실의무 개정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여러 차례 밝힌 가운데 22대 국회 들어서도 상법 개정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이복현(가운데) 금융감독원장이 지난달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기업과 주주행동주의의 상생·발전을 위한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그러나 재계에서는 해외에도 존재하지 않는 입법을 추진하는 것에 강한 불만을 내비치고 있다. A기업 관계자는 “전 세계 선진국들 중 이사 충실의무 확대를 적용한 곳이 없는데 왜 지금 법안을 개정하려고 하는지 다소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권재열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에게 연구용역을 의뢰해 발표한 ‘주주의 비례적 이익을 전제로 하는 이사의 충실의무 인정 여부 검토’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모범회사법과 영국, 일본, 독일, 캐나다 등 주요 국가들의 회사법은 이사 충실의무 대상을 ‘회사’로 한정하고 있다.

통상 일반 주주들이 배당확대 등 당장의 이익분배를 요구하는 반면 대주주(회사)는 투자재원 확보를 우선시한다는 점에서 상법 개정안이 경영상 혼란을 키울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B기업 관계자는 “배당과 투자를 놓고 어느 쪽을 우선시해야 할지 혼란이 예상된다. 통상 제조업 기반의 한국 기업들은 과감한 투자확대로 기업가치 상승에 주력해 왔는데 자칫 투자재원을 배당재원으로 돌리라는 압력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경제인협회 자료]

단 한 명의 주주라도 불만을 제기하는 경우 결론을 낼 수 없어 기업의 의사결정이 느려질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C기업 관계자는 “이사로서는 합병이나 지배구조 개편, 대규모 투자 등 중장기적인 투자를 두고 어떤 주주들의 입장을 대변해야 할지 혼란이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사가 상호 충돌하는 회사와 주주의 의견을 완벽히 합치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만큼 향후 잦은 소송에 시달릴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사가 대주주의 의견을 반영해 업무를 집행할 경우 일반 주주로부터 책임 추궁을 받게 되고, 반대의 경우 대주주가 이사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기 때문이다.

권 교수는 “모든 주주의 이익을 완벽하게 보호하는 것은 이상적”이라며 “이사는 다양한 주주들로부터 충실의무 불이행을 빌미로 손해배상소송을 당하고 회사는 이에 대비해 막대한 비용이 드는 임원배상책임보험을 들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도 “상법 개정안을 통해 주주들의 권한이 강해진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이로 인해 기업의 경영 활동에 제약이 생길 수밖에 없고 주주들이 소송을 남발할 부작용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사의 주주 충실의무 강제가 주식회사의 ‘자본 다수결 원칙’에 위배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사가 소수주주의 이익만을 대변할 경우 소수주주가 누리는 이익이 보유 지분 대비 과대평가된다는 지적이다. 대주주의 지배권은 그만큼 위축되는 결과로 이어진다.

또한 회사가 이사에게 업무를 위임하고 보수를 지급하는 위임계약을 맺었다는 점에서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도 주주가 아닌 회사로 한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D기업 관계자는 “기업의 발 빠른 의사결정을 위해 주주들이 경영 권한을 위임한 것이라는 점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병태 카이스트 경영학과 교수는 “기업 주가가 상승하고 주주들에게 배당을 확대하려면 결국 이윤이 많이 창출돼야 한다. 이는 규제가 아니라 기업 경영권 보장으로 실현된다”고 말했다.

joze@heraldcorp.com
yuni@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