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정부 “북러 교류 협력, 안보리 결의 준수·한반도 평화 기여해야”
뉴스종합| 2024-06-13 15:40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로이터]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이 임박한 가운데 우리 정부는 “러시아와 북한 간 교류 협력은 관련 안보리 결의를 준수하는 가운데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13일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 준비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도 “구체 일정 등은 우리 측이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카자흐스탄 국빈방문을 수행 중인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12일(현지시간) “며칠 안으로 다가온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북한 방문, 그리고 비슷한 시기에 전개되는 한국과 중국의 외교안보 전략대화도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임 대변인은 북러 정상회담을 앞두고 우리와 러시아 간 소통에 대해 “한러 간 한반도 문제에 관해 소통은 유지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협의 내용은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지난달 중순 몽골 울란바토르 인근에서 북한과 일본이 접촉했다는 보도에 대해 임 대변인은 사실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우리 정부는 일본과 북한 간의 접촉을 포함해서 북핵, 북한 문제와 관련해 일본 측과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며 “일본과 북한 간의 접촉은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안정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일본 관방장관은 13일 기자회견에서 “보도에 대해서는 알고 있지만 사안의 성질상 답변을 삼가겠다”며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