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고물가에 벼락거지 됐다" 직장인 바라는 최소 월급은?
뉴스종합| 2024-06-16 17:56

고물가로 '런치플레이션'(점심값 인플레이션)에 시달리는 직장인들이 늘면서 식당보다 가격이 저렴한 인근 대형마트 김밥이나 샌드위치를 찾는 발길이 많아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영등포구 이마트 영등포점에 간편식 판매대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직장인 10명 중 7명은 내년도 최저시급으로 1만1000원(월급 기준 230만원) 이상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16일 직장갑질119는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의 67.8%가 내년도 최저시급으로 1만1000원 이상을 꼽았다고 밝혔다.

1만1000원(월 230만원)이 40.4%로 가장 많았고, 1만원(월 209만원) 이하 22.3%, 1만2000원(월 251만원) 16.5%, 1만3000원(월 272만원) 이상 10.9% 순이었다.

현재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1만1000원은 올해 최저임금(9860원)보다 11.6% 인상된 금액이다.

물가 인상으로 실질 임금이 줄었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88.5%가 '매우 동의한다'(39.5%) 또는 '동의하는 편이다'(49.0%)라고 답했다.

실질 임금 감소는 추가 노동으로 이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응답자의 41.2%는 직장을 다니면서 추가 수입을 위해 다른 일을 병행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그 이유(복수응답 가능)는 '물가 상승으로 생활비가 부족해서'(53.2%)와 '월급만으로는 결혼, 노후, 인생계획 수립이 어려워서'(52.9%)라는 응답이 많았다.

특수 고용직 등 모든 노동자에게 법정 최저임금을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3.6%가 '동의한다'고 답했다.

직장갑질119 송아름 노무사는 "최근 급격한 물가 상승에 따른 실질임금의 하락이 현실화한 상황"이라며 "최저임금 동결 내지 삭감, 업종별 차별 적용을 논하는 것은 정부가 나서서 노동시장 양극화를 더욱 가속하겠다고 선언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직장갑질119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0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p)다.

paq@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