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4세대 실손보험 손해율 130% 상회…비급여 항목 증가 탓
뉴스종합| 2024-06-17 07:46

[헤럴드경제=서지연 기자] 4세대 실손보험의 손해율이 올해 1분기 13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비급여 항목 지급액이 지난해보다 크게 증가한 탓이다. 손해율이 100%가 넘는다는 것은 보험사들이 실손보험에서 적자를 내고 있다는 뜻이다.

1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현대해상·KB손해보험·DB손해보험·메리츠화재 등 5개 손해보험사에서 취합한 올해 1분기 실손보험 손해율은 128%다. 이는 작년 동기(126.3%) 대비 1.7%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세대별로 보면 특히 4세대 실손보험 손해율이 작년 1분기 118.4%에서 올해 1분기 134.0%로 15.6%포인트 급등했다.

2021년 7월 출시된 4세대 실손보험은 과잉 진료를 억제하고 가입자 간 형평성을 도모하기 위해 보험료 할인·할증제를 적용해 출시한 상품이다. 보험료가 이전 세대 상품보다 저렴한 대신 진료비 자기부담비율이 높다.

4세대 실손 손해율은 2021년 62%, 2022년 88.8%, 2023년 115.5%, 올해 1분기 134.0%로 지속해서 급등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되면 4세대 실손보험이 올해 1, 2세대 실손보험의 손해율을 뛰어넘을 것으로 보인다. 1세대와 2세대 실손보험의 손해율은 올해 1분기 각각 123.5%, 120.5%를 기록했다. 3세대의 경우 손해율이 155.5%였다.

실손보험 손해율 급등에는 도수·체외충격파·증식치료, 비급여 주사료 등 비급여 항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비급여 의료는 의료기관이 가격을 임의로 설정하고 진료 횟수, 양 등을 남용할 수 있어 일부 의료기관과 소비자의 과잉의료가 이뤄지고 있다.

5개사의 올해 1∼5월 실손보험금 지급액은 총 3조84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늘었다. 이중 비급여 지급액은 2조2058억원으로 11.3%, 급여 지급액은 1조6385억원으로 11.0% 증가했다.

지난해 전체 실손에서 급여 지급액이 20.7% 늘고, 비급여 지급액은 2.0% 늘어났던 것에 비해 비급여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작년 전체 실손 지급액 증가율은 9.2%였다.

진료과목별로는 코로나19 이후 호흡기 질환이 증가한 영향으로 이비인후과(20.5%)의 실손 지급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정형외과(15.1%), 비뇨의학과(15.1%), 소아청소년과(14.5%), 한방병원(11.0%) 등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도수·체외충격파·증식치료 등 영향으로 정형외과 지급액 8645억원 중 비급여 지급액은 6089억원으로 70.4%에 달했다.

sjy@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