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노소영 “서울대 학생들에 실망, 지방대생엔 감동”…특강 후 올린 글 ‘화제’
뉴스종합| 2024-06-17 09:39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연합뉴스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이 서울대와 계명대 학생들을 상대로 특강에 한 뒤 올린 글이 화제가 되고 있다. 그는 서울대 학생들에게는 “실망스러웠다”며 아쉬움을 나타낸 반면, 계명대 학생들에게는 “감동이었다”고 밝혔다.

노 관장은 지난 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tabula rasa(타불라 라사)’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타불라 라사는 ‘아무것도 쓰여있지 않은 흰 종이’를 뜻한다. 노 관장의 글은 전체공개가 아니라 친구공개로 올려져 뒤늦게 알려지며 화제가 됐다.

노 관장은 자신이 최근 두 학교에서 특강을 했다며 “한 곳은 지방대학, 다른 한 곳은 서울대학. 학부생 수업이라 부담이 되었지만 좀 비교해보고 싶은 마음도 있었다”고 말했다.

노 관장은 서울대 공과대학 80학번 출신이다.

노 관장은 계명대 특강에 대해 “50분 정도 강연을 하고 포스트잇을 학생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무엇이라도 써내지 않으면 저 문을 나가지 못한다고 선언했다”며 “무슨 질문이 나올까 매우 궁금해하면서 한장씩 읽어 보았다. 감동이었다. 우선 순수했다. 질문들이 제대로 정곡을 찌른다. 진지한 고민들이 묻어나는 질문들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에 비해 서울대 특강에 대해서는 “강의가 끝나고 질의응답 시간에 나는 가슴에서 나오는 질문을 더 좋아한다고 말하면서 진솔한 소통을 유도했다. 가슴으로 말하려면 가드를 내려야 하는데, 이들은 잔뜩 경직되어 있었다”며 “나오면서 주임교수에게 느낀 그대로 이야기했다. 좀 실망스러웠다고. 그러자 본인도 지방대에서 가르칠 때가 더 좋았다고 했다”고 전했다.

노 관장은 이어 “두 학교를 비교하면서 많은 생각을 했다”며 “한쪽은 평범한 지방대, 다른 한쪽은 이 사회 최고 엘리트들이 모인 곳. 문제는 챗GPT 등의 인공지능이 서울대 학부생들의 지능은 훨씬 넘어섰다는 것이다. 교육시스템의 문제를 넘어 이제 교육의 목적 자체를 재고할 때”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은 정체성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며 “그래야 오리지널(독창성)이 생기고, 그것만이 인간이 기계를 이길 수 있게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노 관장은 최근 최태원 SK그룹 회장과의 이혼 소송 항소심에서 재산분할로 1조3808억원과 위자료 20억원을 받아야 한다는 판결을 받았다. 1조원을 웃도는 재산분할은 역대 최대 규모로 화제가 된 바 있다.

yeonjoo7@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