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반
LG디스플레이, 자체 개발 생성형AI 사내 전면 도입
뉴스종합| 2024-06-17 10:01
LG디스플레이 DX그룹 소속 직원들이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를 소개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 제공]

[헤럴드경제=김현일 기자] LG디스플레이가 업계 최초로 자체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개발해 사내에 전면 도입했다고 17일 밝혔다.

사내문서 30만여건을 학습한 자체 생성형 AI는 제품 품질과 관련된 질문을 입력하면 축적된 사내 특화 지식을 분석해 최적의 답변을 제시해 준다. 예를 들어 “OO 품질 강화 방법 알려줘”라는 질문을 입력하면 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분석해 즉각 답변해 주는 식이다.

생성형 AI의 핵심인 거대언어모델(LLM)을 사내에 구축해 기술의 외부 유출을 원천 차단한 것도 특징이다. 외부 AI 시스템에 민감한 기술 정보를 입력할 경우 사외로 유출돼 보안 문제가 우려된다. 그러나 LG디스플레이는 지식정보를 사내 LLM을 통해 탐색하도록 설계해 보안 안정성을 확보했다.

이번 생성형 AI 개발은 LG디스플레이와 LG AI연구원, LG CNS의 협업 결과물이다. 학습과 분석을 위한 LLM으로 LG AI연구원의 초거대 AI인 ‘엑사원(EXAONE)’을 활용한다. 사용자의 특정 질문에 맞춰 사내문서 30만여건에서 답변을 찾는 역할은 LG CNS가 자체 개발한 검색엔진 ‘키룩(KeyLook)’이 담당한다.

LG디스플레이와 LG CNS는 사내문서 약 91%가 PPT 형식이라는 점에 착안해 PPT 전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LG CNS는 키룩이 문자뿐만 아니라 테이블, 도표 등 비정형적 텍스트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키룩에 15개 전처리 알고리즘도 적용했다.

LG디스플레이는 임직원들의 사용 내역을 지속 학습시켜 하반기에 더욱 고도화된 생성형 AI를 선보일 예정이다. 올해 안에 검색영역도 품질과 더불어 특허·안전·장비·구매 등 타 영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병승 LG디스플레이 DX그룹장(상무)은 “독자적인 생성형 AI 도입으로 정보의 외부 유출은 원천 차단하고 임직원 개개인의 업무 역량은 강화할 수 있게 됐다”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으로 업무혁신을 가속해 갈 것”이라고 전했다.

joze@heraldcorp.com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