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교육부 “의대생 복귀 움직임 없어…비상학사 가이드라인 7월까지 공유”
뉴스종합| 2024-06-17 11:30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가 이어지는 가운데 한 의대 강의실이 비어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박혜원 기자] 의대 증원에 반발한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로 집단 유급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교육부가 비상 학사 운영 가이드라인을 7월까지 마련해 각 대학에 공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7일 심민철 교육부 인재정책기획관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정례 브리핑에서 “(비상 학사 운영) 가이드라인을 7월까진 마련해서 대학에 공유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과 관련해선 “현재로선 복귀 동향이 파악된 것은 없다”고 설명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 14일 브리핑에서 각 의대에 의대생들의 휴학을 승인하지 말 것을 재차 강조하면서 비상 학사 운영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가이드라인에는 의대생들이 집단 유급 없이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학생들이 이수하지 못한 과목에 재이수 기회를 추거나 추가 학기를 마련하는 방안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학기말에 집단유급 여부를 결정하지 않고 학년 말까지 수업이 결손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언급됐다.

의대 총장들은 의대생 수업 거부에 따른 집단유급 사태를 막기 위한 방안 마련을 촉구해왔다. 이들의 집단 유급이 현실화할 시 내년 전국 의대에선 신입생(4610명)과 올해 1학년인 유급 인원(3058명)을 합해 7000명가량이 한번에 수업을 들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의대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지난 12일 교육부에 대학이 탄력적으로 수업을 운영해 유급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주도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내용의 건의를 공문으로 전달했다.

klee@heraldcorp.com

랭킹뉴스